서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이다. 자(字)는 공명(公明)이고, 서개(徐蓋)의 아버지, 서패(徐覇)의 조부이다. 하동군(河東郡) 양현(楊県;현재 산서성(山西省) 홍동현(洪洞県) 남부)출신의 사람이다.
[편집] 생애
처음 이각(李傕)의 부하 양봉(楊奉)을 섬기며, 공적을 세워 기도위(騎都尉)에 임명되었다. 서황은 양봉에게 헌제(献帝)을 데리고 낙양(洛陽)으로 돌아갈것을 진언하였고, 양봉은 서황의 생각에 따라 헌제를 데리고 낙양으로 돌아왔다. 서황은 이 일로 도정후(都亭候)에 봉해지게 된다. 또한 서황은 양봉에게 조조(曹操)에게 귀순할것을 진언했으나, 양봉이 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조조와 대립하자 양봉을 떠나 조조에게 귀순했다. 그후 여포(呂布)토벌 및 관도대전(官渡對戰), 마초(馬超)토벌등 많은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웠다.
219년 조엄(趙儼)과 함께 형주로 가서 번성(樊城)을 포위한 관우(関羽)의 군대를 격퇴하여 조인(曹仁)을 구원하는 활약을 보였다. 조조는 서황을 치하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30년이상 병사을 움직였고, 고대의 전투에 뛰어났던 장수를 무수히 많이 알았지만, 어느 누구도 적의 포위망을 돌파한 자는 거의 없었다. 거기에 번성이 처한 상황은 연나라가 제나라의 莒・即墨을 포위했던 때보다 더 곤란한 상황이었다. 장군의 공적은 손무(孫武), 사마양저(司馬穰苴)보다도 뛰어난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 전투의 승리를 축하는 연회를 개최할때 조조는 서황에게 술을 권하고 그를 칭송했다. 이때 다른 군대도 집결하였는데, 다수의 군 병졸들은 위치했던 장소을 떠나 매우 어수선했지만, 서황의 군대만은 장병이 정연하게 진형을 갖추고 위치한 장소을 떠나는 이들이 없었다. 이걸 본 조조는 더욱더 서황을 두텁게 신뢰하여 [서황에게는 주아부(周亜夫)의 풍격이 있다]라고 칭찬했다고 한다.
조비가 위나라의 황제가 되자, 서황은 우장군(右将軍)으로 승진하였고, 그후 하후상(夏侯尚)과 함께 상용(上庸)에서 유비(劉備)을 격파했다. 명제(明帝)의 시기에는 오(呉)의 제갈근(諸葛瑾)을 격퇴하고 식읍 200호를 하사받아 총 3,100호을 가지게 되었다. 227년 병사하였고 시호는 장후(壮侯)이다.
[편집] 인물평
서황은 무공을 세웠음에도 사치를 부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부하에게는 아버지같은 친근한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인망이 매우 두터웠다고 전해진다. 그는 항상 [모든 사람들은 명군을 만날것을 기원하였지만, 나는 행운아이기에 그 명군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에 공적을 세운것도 이 행운에 답한것에 불과하다. 개인의 공명같은것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하고 최후까지 무리를 만드는 일은 없었다.
용병에서는 첩자를 이용하여 정보수집을 중시하고 항상 패전시의 대책을 염두에 두고 전투를 진행해 나가는등 견실한 모습을 보이지만, 또 한편으로 좋은 기회가 보인다면 휘하에게 식사시간도 주지않고 거의 맹렬한 추격에 나서기도 했다. 정사를 토대로 그가 전투에 패배한것은 적벽대전 후의 강릉을 둘러싼 전투와 한중 전투 뿐일정도로 삼국시대을 대표하는 명장중에 1명이라 할 수 있다.
[편집] 연의에서의 서황
《삼국지연의》에서는 대부(大斧;큰 도끼)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무장으로 등장한다. 부장인 왕평(王平)과 의견이 맞지않아 충돌하고 그 결과 왕평이 촉나라로 가버렸기에 격노하는(왕평이 서황의 부장이란 이야기는 창작)등 급한 성질의 성격도 보여주지만, 관우와 일대일 결투에서 물러서지 않는등 위나라 굴지의 용장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예전 촉나라 신하였던 맹달(孟達)이 다시 촉나라로 망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토벌에 나섰다가 맹달이 쏜 화살에 이마를 꿰뚤려 전사하고 말았다. 진수의 정사보다 인물됨의 묘사가 조금 부정적인데, 서황이 여몽과 함께 관우 토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촉나라 지지자였던 나관중에게 앙심을 샀던 것으로 이유를 추측할수 있다.
|
|||||||||||||
---|---|---|---|---|---|---|---|---|---|---|---|---|---|
군주 |
|
||||||||||||
참모 |
|
||||||||||||
장군 |
|
||||||||||||
비한족 | 가비능(선비) · 답돈(오환) · 맹획(남만) · 비미호(일본) ·어부라(흉노) | ||||||||||||
기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