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also ebooksgratis.com: no banners, no cookies, totally FREE.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위키백과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00호대 중기형 차량 (구로역에서)
1000호대 중기형 차량 (구로역에서)
양 수 10량
전기 방식 교류 25,000 V 60 Hz,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제어 방식 직병렬조합 및 약계자 저항제어
기관 형식 {{{기관형식}}}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2.5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10 km/h
감속도 상용 : 3.5 km/h/s
비상 : 4.5 km/h/s
전동기 출력 120 kW
편성 출력 2880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차량 정원 {{{차량정원}}} 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 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 {{{대차}}}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 mm
구동 장치 직류전동기
제동 방식 발전제동병용 전자직통제동(SELD)
MT비 6M 4T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가와사키 중공업, 도큐 차량 제작,
긴키 차량 제작, 조선공사,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작 연도 1975년~1996년
비고 {{{비고}}}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1974년 경부선 및 경인,경원선 복선전철 및 서울지하철 종로선과의 직통운행을 목적으로 1993년까지 도입된 직/교류 겸용의 대한민국 최초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전동차 제작 경험 및 기술이 없었던 1974년 당시 도입된 한국 최초의 통근형 전동차 1000호대 전동차는, 일본의 일반적인 통근형 전동차를 기초로 하였으나 당시 일본에서도 직교류 겸용의 통근형 전동차는 없었기 때문에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다. 대체적인 전기적 사양은 일본국철 415계 전동차를, 차체는 103계를 기초로 설계되어 있다. 저항제어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캠축구동 직병렬조합 저항제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속에서는 약계자 제어를 사용한다. 제어기기의 냉각은 강제냉각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대차는 일본 히타치 제작소의 KH-90 코일스프링 방식의 볼스터 대차가 사용되었다. 제동장치에는 SELD 발전제동을 포함한 전자직통제동을 사용하고 있어 당시 전형적인 전동차의 사양을 따르고 있다.

[편집] 편성

10량조성시 TC-M-M'-T-M-M'-T-M-M'-TC

  1. 10XX - Tc
  2. 12XX - M(공기압축기,축전지,주저항기,주제어기 등)
  3. 13XX - M'(주변압기,SIV,팬터그래프 등)
  4. 18XX - T
  5. 14XX - M(공기압축기,축전지,주저항기,주제어기 등)
  6. 15XX - M'(주변압기,SIV,팬터그래프 등)
  7. 19XX - T
  8. 16XX - M(공기압축기,축전지,주저항기,주제어기 등)
  9. 17XX - M'(주변압기,SIV,팬터그래프 등)
  10. 11XX - Tc

보통은 TC-M-M'-T-M-M'-T-M-M'-TC이지만, TC-M-M'-M-M'-M-M'-M-M'-TC의 8M2T로 조성되어 운행한 적도 있으며, 검수 입창시 TC-M-M'-T-T-T-T-M-M'-TC나 TC-M-M'-M-M'-M-M'-TC, TC-M-M'-T-T-M-M'-TC 등으로 조성되어 자력 입창한 적도 있다.

[편집] 각 세대별 구분

[편집] 1세대형(초기형)

76년부터 85년까지 도입된 1001~1041까지를 초기형으로 구분하며, 동호인 사이에서는 "초저항(初抵抗)"이라고 불리고 있다. 선두부는 일본의 전형적인 전동차 선두부 형태인 중앙부에 관통문을 장비한 3창형식, 객실의 2단 상승식 측면 창문 등이 특징이다. 이것은 전형적인 초기 일본 전동차의 모습이었다. 1001~1013까지 일본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차량, 긴키차량, 도큐차량 등에서 제작 수입되었으며, 1014부터 대우중공업에서 부품을 넉다운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 1014호를 "국산 1호 전동차"로 기록하고 있다. 2000년도부터 내구연한(25년)이 만료된 차량을 시작으로 폐차가 진행되어 2004년 7월까지 초기형 선두차량이 모두 퇴역하였다. 현재는 일부 중간차 부분만이 2, 3세대 차량에 혼합 연결되어 운용되고 있다.

배속
  • 구로차량기지 : 가와사키중공업·니혼사료·긴키사료·도큐사료·대우중공업에서 제작. 1001~1041편성. 한국철도 CI도색. 폐차.

[편집] 2세대형(중기형)

86년부터 92년까지 도입된 1042~1073까지, 혹은 10량화 사업 등으로 증비된 차량을 통틀어 중기형, 혹은 "중저항(中抵抗)"이라고 부른다. 선두부의 페이스리프트와 함께 고장 및 운행기록장치가 도입되었으며 측면 창문은 1단 상부개폐형으로 변경되었다. 처음부터 냉방장치가 장착되어 출시되었는데 냉방장치 출력 확보를 위해 보조전원장치를 전동발전기에서 정지형인버터(SIV)로 교체하였으며 이후 초기형의 냉방화와 더불어 전 차량의 보조전원장치를 SIV로 교체하게 된다. 1042~1063까지는 객실 측문에 긴 직사각형 창문이 설치되어 있으나 1064부터는 다시 작은 정사각형 창문을 채용했기 때문에 1064~1073까지는 후기형, 또는 "후저항(後抵抗)"이라고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배속
  • 구로차량기지 (전기형) : 대우중공업에서 제작. 1042~1052, 1054~1056, 1058~1062편성. 한국철도공사 CI도색.
  • 구로차량기지 (후기형) :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1064, 1066편성.
  • 이문차량기지 (후기형) : 1067편성(대우중공업), 1068~1070편성(현대정공), 1071~1073편성(한진중공업). 한국철도 CI도색.

[편집] 3세대형(후기형)

1994년부터 1996년 사이에 5000호대 전동차의 도입 직전 구로 3복선 개통 및 경원선(현재의 용산-팔당간 노선)의 6량 편성 전동차를 10량으로 증설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인해 증비된 차량. 선두부는 93년 과천/안산선용 203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1074~1086호까지가 해당된다. 정확히는 후기형이나, 1064~1073까지를 후기형으로 칭해 3세대형을 신형, 또는 "신저항(新抵抗)"으로 칭하고 있다.

배속
  • 이문차량기지 (1세대) : 1x74편성
  • 구로차량기지 (1세대) : 1994년 대우중공업 제작. 1075~1079편성.
  • 구로차량기지 (2세대) : 1996년 현대정공 제작 . 1x80, 1x81, 1x83~1x86편성.

[편집] 개조 역사

  • 1986년 전 차량에 대해 보조전원장치를 전동발전기(MG)에서 정지형인버터(SIV)로 교체하였으며 이후 2004년 우진산전의 190KVA급 IGBT소자를 사용하는 신형 SIV로 전 차량이 교체되었다. 이와 동시에 공기압축기도 기존 피스톤식에서 저소음, 저진동의 스쿠류모터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2004년에 1065, 1066호에 우선적으로 시험설치를 하였고 2005년 후반 이후 확대설치)
  • 1988년부터 냉방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초기형 차량에 대해서 냉방개조 공사가 시행되었다. 냉방공사는 대한조선공사에서 시행함
  • 2000년부터 2세대 이후차량의 운전실에 고장, 운행기록을 위한 TIS와 급행열차 운용으로 인해 정차역 오인통과를 방지하기위한 정차역 통보장치가 설치되었다.
  • 2006년부터 2007년 사이에 일부 초기형 전동차의 부수 차량에 KORAIL 신도색을 적용함과 동시에 불연 내장재 작업을 하여 2-3세대 전동차에 조합 운행 중이다.
  • 2007년에 일부 2세대 전동차의 출입문이 교체되었다. 신도색을 적용한 선임 번호대 일부(1x4x대)는 신형 VVVF 전동차(제3세대분)의 출입문과 동일한 품목으로, 일부 1x5x 번대 전동차는 초기형 전동차의 품목과 동일한 것으로 새로 제작되어 교체되었다.

[편집] 선두차 개조

1999년과 2002년 초기형 차량의 일부 퇴역으로 인해 내구연한이 남는 일부 초기형 중간차의 편성을 조성하기 위해 남는 부수객차(T차)를 대상으로 선두차 개조가 시행되었다. 2세대 전동차를 개조하였던 1082, 1182, 1087호 전동차와 1세대 전동차를 개조한 1088~1094호 전동차 등이 해당된다. 1087호 전동차는 이미 오래전에 휴차 처리되었고, 1082를 포함한 나머지 선두개조 전동차는 2006년까지 운행되다가 초기형 차량이 추가로 퇴역하게 됨으로 인한 동력 차량의 부족으로 편성에 편입되지 못하여 내구연한이 남은 채 병점 차량 사업소에서 휴차중이다(대부분 불연 내장재 비교체).

[편집] 불연재 내장 교체사업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3년 후반부터 순차적으로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전 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재로 교체되었다. 교체 대상은 2003년 기준으로 5년 이상의 내구연한이 남아있는 차량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저항제어방식 차량은 2004년부터 내장재 교체가 순차적으로 시행되었다. 로윈, 흥일기업, 디자인리미트(현재의 SLS중공업) 등이 참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를 보수성이 떨어지는 행선필름방식에서 LED 현시방식으로 교체하였다(단, 측면 롤지가 없었던 초기형 부수 전동차는 제외).

[편집] 특이 사항

[편집] 전시 차량

현재 퇴역한 1001호, 1115호, 1315호가 의왕철도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1115호, 1315호는 국산 1호 전동차의 일부로서 처음 전시될 때 1001호, 1201호로 위장 전시되어 한때 논란이 되었다. 낙창식창문 Tc개조차 1091이 현재 문경선 불정역에 객차 테마파크용으로 전시중이다.

[편집] 함께 보기

다른 언어


aa - ab - af - ak - als - am - an - ang - ar - arc - as - ast - av - ay - az - ba - bar - bat_smg - bcl - be - be_x_old - bg - bh - bi - bm - bn - bo - bpy - br - bs - bug - bxr - ca - cbk_zam - cdo - ce - ceb - ch - cho - chr - chy - co - cr - crh - cs - csb - cu - cv - cy - da - de - diq - dsb - dv - dz - ee - el - eml - en - eo - es - et - eu - ext - fa - ff - fi - fiu_vro - fj - fo - fr - frp - fur - fy - ga - gan - gd - gl - glk - gn - got - gu - gv - ha - hak - haw - he - hi - hif - ho - hr - hsb - ht - hu - hy - hz - ia - id - ie - ig - ii - ik - ilo - io - is - it - iu - ja - jbo - jv - ka - kaa - kab - kg - ki - kj - kk - kl - km - kn - ko - kr - ks - ksh - ku - kv - kw - ky - la - lad - lb - lbe - lg - li - lij - lmo - ln - lo - lt - lv - map_bms - mdf - mg - mh - mi - mk - ml - mn - mo - mr - mt - mus - my - myv - mzn - na - nah - nap - nds - nds_nl - ne - new - ng - nl - nn - no - nov - nrm - nv - ny - oc - om - or - os - pa - pag - pam - pap - pdc - pi - pih - pl - pms - ps - pt - qu - quality - rm - rmy - rn - ro - roa_rup - roa_tara - ru - rw - sa - sah - sc - scn - sco - sd - se - sg - sh - si - simple - sk - sl - sm - sn - so - sr - srn - ss - st - stq - su - sv - sw - szl - ta - te - tet - tg - th - ti - tk - tl - tlh - tn - to - tpi - tr - ts - tt - tum - tw - ty - udm - ug - uk - ur - uz - ve - vec - vi - vls - vo - wa - war - wo - wuu - xal - xh - yi - yo - za - zea - zh - zh_classical - zh_min_nan - zh_yue - z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