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백선(太白線)은 충청북도 제천시의 제천역과 강원도 태백시의 백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103.5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임의
- 복선 구간: 없음(단, 함백선 병행 구간이 복선 기능을 수행하기도 함)
- 전철화 구간: 전 구간(교류 25,000V)
- 보안 장치: 자동폐색, ATS
[편집] 역 목록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제천 | Jecheon | 堤川 | 0.0 | 0.0 | 중앙선, 충북선 | 충청북도 | 제천시 |
장락 | Jangnak | 長樂 | 5.0 | 5.0 | |||
송학 | Songhak | 松鶴 | 4.8 | 9.8 | |||
입석리 | Ipseok-ri | 立石里 | 3.3 | 13.1 | |||
쌍룡 | Ssangnyong | 雙龍 | 4.6 | 17.7 | 강원도 | 영월군 | |
연당 | Yeondang | 淵堂 | 7.6 | 25.3 | |||
청령포 | Cheongnyeongpo | 淸泠浦 | 5.7 | 31.0 | |||
영월 | Yeongwol | 寧越 | 3.1 | 34.1 | |||
탄부신호장 | Tanbu | 炭釜 | 2.7 | 36.8 | |||
연하신호장 | Yeonha | 蓮下 | 4.9 | 41.7 | |||
석항 | Seokhang | 石項 | 6.7 | 48.4 | |||
예미 | Yemi | 禮美 | 3.1 | 51.5 | 함백선 | 정선군 | |
조동신호장 | Jodong | 鳥洞 | 6.6 | 58.1 | 함백선 | ||
자미원신호장 | Jamiwon | 紫味院 | 4.4 | 62.5 | |||
증산 | Jeungsan | 甑山 | 6.7 | 69.2 | 정선선 | ||
사북 | Sabuk | 舍北 | 6.0 | 75.2 | |||
고한 | Gohan | 古汗 | 4.6 | 79.8 | |||
추전 | Chujeon | 杻田 | 9.0 | 88.8 | 태백시 | ||
태백 | Taebaek | 太白 | 6.0 | 94.8 | |||
문곡 | Mungok | 文曲 | 3.0 | 97.8 | |||
동백산(태백선) | Dongbaeksan | 東栢山 | 4.5 | 102.3 | 태백삼각선 | ||
백산 | Baeksan | 栢山 | 1.2 | 103.5 | 영동선 |
- 태백삼각선 : 동백산(영동선)~동백산(태백선) 간 0.8km
[편집] 노선 특성
이 구간의 열차 운행은 화물열차편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 인해 선로 용량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 구간은 전선에 걸쳐 30퍼밀에 이르는 급격한 구배가 산재해 있어 운행 차량의 종류와 견인량수, 운전속도 등이 제한되고 있다.
화물열차의 운행은 주로 석탄과 양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기여객열차운행은 청량리 등지를 기점으로 하는, 중앙선 및 영동선에서 직통운행하는 무궁화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태백선 구간만을 한정하여 운행하는 열차는 전무하며, 대개 다른 선구로부터 직통 운행하는 열차편이 대부분이다.
이 노선은 주변 경관이 뛰어나고 관광산업 진흥이 활발하여, 기간 및 행사관계로 인한 임시 관광열차 투입이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태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제천~쌍용 | 48 | 7 | - | 26 | 33 |
쌍용~영월 | 40 | 7 | - | 16 | 23 |
영월~증산 | 33 | 7 | - | 16 | 23 |
증산~고한 | 35 | 7 | - | 15 | 22 |
고한~태백 | 25 | 7 | - | 15 | 22 |
태백~백산 | 34 | 7 | - | 15 | 22 |
[편집] 차량
- 객차
- 무궁화호 전 형식
과거의 운행하던 차량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전동차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영월에 건설된 발전소를 위해 1949년에 착공하여 1955년에 완공된 영월선(또는 영월발전소선)과 영동선에서 황지(현 태백시)일대의 탄광 개발을 위해 1962년에 건설되었던 황지지선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 탄광 개발을 위해 영월선의 연장선으로 건설된 함백선, 정선선, 고한선 등의 제 선로가 건설되면서 점차 두 노선이 근접하게 되고, 이후 추가적인 동서횡단노선의 확충 필요, 교통두절의 예방과 선로용량 증가를 위해 고한~황지간 연결선을 1973년에 완공하면서 이 각 노선을 통합, 태백선으로 명명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편집] 연혁
- 1949년 5월 3일 - 영월선 제천~함백간 착공.
- 1955년 12월 30일 - 영월선 제천~영월간 38.1km 완공.
-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함백간 22.6km 완공. 완공 이후 영월선 구간을 통합하여 함백선으로 명명.
- 1961년 8월 8일 - 황지지선 백산~황지간 착공.
- 1962년 5월 10일 - 정선선 예미~정선간 착공.
- 1962년 5월 18일 - 고한선 증산~고한간 착공.
- 1962년 12월 10일 - 황지지선 백산~황지간 9.0km 완공.
- 1966년 1월 19일 - 고한선 증산~고한간 6.5km 완공.
- 1966년 1월 10일 - 정선선 예미~증산간 연결.
-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 예미~정선간 41.6km 완공. 예미~함백간은 함백선으로 분리.
- 1969년 8월 23일 - 고한선 고한~황지간 착공.
- 1971년 1월 4일 - 제천~고한간 전철화 착공.
- 1973년 10월 16일 - 고한선 고한~황지간 15.0km 완공. 완공 이후 영월선, 정선선, 황지지선을 통합하여 태백선으로 명명.
- 1974년 6월 20일 - 태백선 제천~고한간 80.1km 전철화 완공. 전기기관차 운행 개시.
- 1974년 12월 20일 - 함백~조동간 루프 터널 착공.
- 1975년 일자불명 - 태백삼각선 0.8km 완공.
- 1975년 11월 3일 - 서남철교 기관차 추락 사고 발생.
- 1975년 12월 5일 - 영동선 전철화 완료와 함께 고한~백산간 23.7km 전철화 완공.
- 1976년 12월 30일 - 함백~조동간 루프 터널(L=2,450m) 개통으로 인해 예미~조동간 함백선 연결 개통. 해당 구간 복선화.
- 1977년 4월 1일 - 조동역(신호장) 개역.
- 1977년 8월 13일 - ATS화 완료.
- 1978년 2월 28일 - 두평역(신호장), 청령포역(신호장) 개역.
- 1984년 4월 10일 - CTC화 완료.
- 1984년 12월 1일 - 황지역을 태백역으로 개칭.
- 2004년 3월 31일 - 객차형 통일호 전폐에 따른 통일호 폐지.
- 2005년 5월 23일 - 태백선 제천~쌍룡간 복선화 공사 계획 고시.
- 2006년 11월 1일 - 다이어 개정에 따른 태백선 새마을호 폐지.
[편집] 미래
현재 태백선 제천역~쌍룡역 간에 한해 용량 부족과 운행 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복선화 공사가 실시되고 있으나, 노선 전체에 대한 추가적인 개량 가능성은 구상 정도에 그치고 있다.
현재 주로 석탄, 양회 벌크 화물 위주로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구의 과소화로 인해서 여객영업기반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실정이다. 연선 지자체에 의한 관광진흥으로 인해 여객영업기반의 악화가 어느정도 지연되고 있으나 미래는 아직 불확실한 실정이다. 현재 이 구간의 열차는 정부의 공공철도 운행보상금 제도(PSO)의 지원 대상이다.
[편집] 관련 항목
|
---|
제천 - 장락 - 송학 - 입석리 - 쌍용 - 연당 - 청령포 - 영월 - 탄부 - 연하 - 석항 - 예미 - 조동 - 자미원 - 증산 - 사북 - 고한 - 추전 - 태백 - 문곡 - 동백산 - 백산 |
|
|||||
---|---|---|---|---|---|
간선 | 경부선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경북선 · 경원선 · 경의선 · 경전선 · 경춘선 · 동해선 (동해남부선, 동해북부선) · 영동선 · 장항선 · 전라선 · 중앙선 · 충북선 · 태백선 · 호남선 | ||||
지선과 화물선 | 가야선 · 강경선 · 광양제철선 · 광양항선 · 광주선 · 군산화물선 · 괴동선 · 남부화물기지선 · 남포선 · 대구선 · 대불선 · 대전선 · 마산항제1부두선 · 망우선 · 묵호항선 · 문경선 · 미전선 · 부전선 · 북평선 · 북전주선 · 사천선 · 삼척선 · 서울교외선 · 양산화물선 · 여천선 · 오송선 · 온산선 · 우암선 · 울산항선 · 장생포선 · 장성화물선 · 장항화물선 · 정선선 · 진해선 · 천안직결선 · 함백선 |
||||
광역 철도 |
|
||||
영업 중지 | 수인선 · 옥구선 · 용산선 | ||||
건설 중단 | 동해중부선¹ · 전남선 | ||||
폐선 | 가은선 · 금강산선 · 김포선 · 당인리선 · 수려선 · 신촌연결선 · 안성선 · 오정선 · 주인선 · 진삼선 | ||||
계획중 | 군산-목포선 · 남부내륙선 · 동서선 (동서고속철도) · 서해선 · 서해산업선 · 완도항선 · 용문-홍천선 · 원주-강릉선 · 의정부-철원선 · 중부내륙선 · 춘천-원주선 · 평택-원주선 · 호남고속철도 (호남고속선) | ||||
1 : 엄밀히 말해서 건설 중단선이 아니지만 이전에 건설 중단선이였고 현재는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건설 중단선으로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