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also ebooksgratis.com: no banners, no cookies, totally FREE.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이마누엘 칸트 - 위키백과

이마누엘 칸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칸트’ 문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칸트에 대해서는 칸트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년 4월 22일 ~ 1804년 2월 12일)는 근대 계몽주의를 정점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피히테, 셸링, 헤겔로 이어지는 독일 관념철학의 기초를 놓은 프로이센철학자이다.

임마누엘 칸트
임마누엘 칸트

목차

[편집]

1724년 프로이센의 상업도시 쾨니히스베르크(현재 러시아칼리닌그라드)에서 수공업자인 아버지 요한 게오르크 칸트(Johann Georg Kant)와 어머니 안나 레기나(Anna Regina) 사이에서 태어났다. 칸트의 부모는 청교도적 생활을 하였으며, 이는 유년시절의 칸트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전해진다. 칸트는 1732년 어머니와 친분이 있던 신학자 슐츠가 지도하던 사학교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에 입학하고 1740년에 졸업했다. 같은 해에 쾨니히스베르크의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수학을 공부했는데, 특히 마르틴 크누첸(Martin Knutzen)의 지도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대의 칸트전기작가들은 칸트가 대학졸업 후 수 년에 걸쳐 지방 귀족가문의 가정교사 생활을 하면서 홀로 철학연구를 계속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칸트는 곧 대학으로 돌아왔으며 1755년 6월 12일 박사학위를 받음과 동시에 《형이상학적 인식의 으뜸가는 명제의 새로운 해명》(Principorum primorum cognitionis metaphysicae nova dilucidatio)이라는 논문으로 대학에서 강의를 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이후 대학에서 일반논리학, 물리학, 자연법, 자연신학, 윤리학등 여러 분야의 주제로 강의했다. 1756년 크누첸이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교수직을 얻으려 노력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렇지만 1764년 프로이센의 교육부에서 제공한 문학 교수자리를 거절할 정도로 철학교수직을 갈망했다. 18세기까지도 수학과 물리학은 자연철학으로 간주되어 철학의 영역에 속했다. 1766년에는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왕립도서관의 사서로 취직하여 1772년 까지 근무하기도 했다. 그사이 칸트는 원하던대로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교수직를 얻게되는데, 이 때 발표한 교수취임논문(1770년)은 칸트 비판기철학의 시작을 알리는 저술로 평가되고 있다. 10여년간의 철학적 침묵기를 거친 후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초판:1781년, 재판:1787년), 《실천이성비판》(1788), 그리고 《판단력비판》(1790)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그의 비판철학의 정수를 선보였다. 눈부신 학문적 성취와 더불어 1786-8년에는 쾨니히스베르크대학의 총장에 선출되는 영예를 누렸다.

1796년까지 약 20여년 간에 걸쳐 칸트는 한 번도 쾨니히스베르크를 떠나지 않았으며, 알려진 것처럼 규칙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강의와 사유에 전념했다. 다만 1792년에 논문출판과 검열을 두고 학부 관리처와 작은 의견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의 논문은 《인간본성에 있어서의 근본악에 관하여》(Vom radikalen Bösen in der menschlichen Natur)란 제목으로서 당시의 계몽주의사상과 종교에 관한 칸트의 솔직한 견해가 대학 관리처로부터 경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평생 독신으로 살며 커피담배를 즐겼던 칸트는 1804년 2월 12일 새벽 4시, 80세를 향년으로 생을 마감한다. 그가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좋아(gut)"라고 전해진다.

[편집] 칸트 철학

칸트는 18세기 철학에 있어 가장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 평가 받는다. 실제로 칸트 이전의 철학과 이후의 철학은 굉장한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칸트가 형이상학은 인간이 인식할 수 없는 영역으로 주장하였고, 실제 그 타당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의 철학은 근대 서구 철학에 있어 데카르트, 헤겔, 피히테, 니체 등과 함께 거대한 업적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칸트의 저서에는 《순수이성비판》, 《판단력비판》 등과 같이 비판으로 끝나는 것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칸트가 과거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기 때문이다. 칸트는 이러한 측면에서 스스로의 철학을 '비판철학' 이라고 불렀다.

17~18세기 철학은 인식론으로 크게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로 나누어졌다. 여기서 합리주의는 인간이 본래부터 지닌 선험적 이성을 중시하였고, 경험주의는 인간은 경험함으로서 얻는 귀납법을 중시하였다. 합리주의의 방식은 지식을 확장해 나가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였고, 경험주의의 방식은 귀납적인 방법을 강조한 나머지 진리의 필연성을 찾는데 한계를 드러내었다. 여기서 칸트는 이 두 사상을 통합한 선험주의를 주장하는데, 이는 칸트 철학의 가장 중요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칸트의 인식론은 감성을 통해 얻은 감각을 범주를 사용하여 오성으로 인식하고, 초경험적인 것은 이성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감성은 어떤 물자체를 지각하는 능력이며, 범주는 이러한 감각을 인식하게 하는 하나의 틀이다. 따라서 감성과 오성은 인간이 지각 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요건인 셈이다. 여기서 칸트는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데 시간과 공간 값이 필요하다고 본다. 구체적인 연장과 존재하는 시간이 없으면 우리는 인식을 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다만, 감정과 같은 것은 공간 값은 없지만 시간 값만 있는 것으로 보았다.

칸트는 저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초경험적인 것을 이성으로 알려고 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가령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존재론적 증명 등을 비판하여 여러 형이상학적인 사상들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말은 형이상학의 영역이 거짓이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인식 할 수 없는 것으로, 어떤 형이상학적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이 시도는 근대에 이어 현대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칸트는 이러한 형이상학적인 신, 영혼들의 존재를 도덕을 다루는 과정에서 다시 요청하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칸트의 행위는 후에 모순된 행위라는 주장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칸트는 곳 마다 차이가 나는 도덕이 아니라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도덕을 추구하였다. 모두가 합리적이고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도덕을 지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덕을 도덕법칙으로 부르는데, 칸트는 인간은 자신의 감정에 따라 선을 베푸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았고, 다만 도덕법칙에 따르며 행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칸트는 인간은 마음 속에서 충동과 도덕이 투쟁한다고 보았다. 즉, 옳고 그른 일을 하는 것에 대해서 인간의 마음 속에서는 충동과 도덕심이 투쟁을 하며, 도덕이 이기면 선한 행동을 하고 충동이 이기면 그른 일을 하게 된다고 보았으며, 그렇다고 도덕이 충동을 없애 버려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편집] 읽어보기

[편집] 저서

  • 일반 자연사와 천체론 (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 1755년)
  • 순수이성비판 (Kritik der reinen Vernunft, 1판, 1781년: 2판, 1787)
한국어 번역본: 최재희 옮김, 박영사
순수이성이라는 말은 칸트가 지어냈고, 그것이 무엇이며 어떤 의의가 있는가 하는 문제에 관한 일방적인 주장을 전개하는 데 그쳤으며, 인용도 주도 거의 없다. 그런데도 철학의 길을 연 업적으로 인정되고, 수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1]
  • 미래의 형이상학을 위한 서설 (Prolegomena zu einer jeden künftigen Metaphysik, die als Wissenschaft wird auftreten können, 1783년)
  • 윤리 형이상학의 정초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1785년)
  • 실천이성비판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1788년)
한국어 번역본: 백종현 옮김, 아카넷, 2002
한국어 번역본: 이석윤 옮김, 박영사
  •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Zum ewigen Frieden. Ein philosophischer Entwurf, 1795년)
한국어 번역본: 이한구 옮김, 서광사
  • 윤리 형이상학 (Die Metaphysik der Sitten, 1797년)

[편집] 칸트전집

  • 독일 왕립학술원에서 간행한 전집 (Kant gesammelte Schriften, 편집 Königliche-Preuß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10ff., Berlin). 흔히 "학술원판"으로 불리는 이 전집은 칸트저술 인용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주어캄프 출판사에서 간행한 봐이셰델 편집 (Kants Werke, W. Weischedel (Hrsg.), Suhrkampff)

[편집] 인터넷

[편집] 입문서

  • Höffe, Otfried (2004): Immanuel Kant, München
한국어 번역본: 임마누엘 칸트, 문예출판사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1. 조동일 [1993-6-20]. 《우리 학문의 길》, 초판, 서울: 지식산업사, 41.
이 문서는 철학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aa - ab - af - ak - als - am - an - ang - ar - arc - as - ast - av - ay - az - ba - bar - bat_smg - bcl - be - be_x_old - bg - bh - bi - bm - bn - bo - bpy - br - bs - bug - bxr - ca - cbk_zam - cdo - ce - ceb - ch - cho - chr - chy - co - cr - crh - cs - csb - cu - cv - cy - da - de - diq - dsb - dv - dz - ee - el - eml - en - eo - es - et - eu - ext - fa - ff - fi - fiu_vro - fj - fo - fr - frp - fur - fy - ga - gan - gd - gl - glk - gn - got - gu - gv - ha - hak - haw - he - hi - hif - ho - hr - hsb - ht - hu - hy - hz - ia - id - ie - ig - ii - ik - ilo - io - is - it - iu - ja - jbo - jv - ka - kaa - kab - kg - ki - kj - kk - kl - km - kn - ko - kr - ks - ksh - ku - kv - kw - ky - la - lad - lb - lbe - lg - li - lij - lmo - ln - lo - lt - lv - map_bms - mdf - mg - mh - mi - mk - ml - mn - mo - mr - mt - mus - my - myv - mzn - na - nah - nap - nds - nds_nl - ne - new - ng - nl - nn - no - nov - nrm - nv - ny - oc - om - or - os - pa - pag - pam - pap - pdc - pi - pih - pl - pms - ps - pt - qu - quality - rm - rmy - rn - ro - roa_rup - roa_tara - ru - rw - sa - sah - sc - scn - sco - sd - se - sg - sh - si - simple - sk - sl - sm - sn - so - sr - srn - ss - st - stq - su - sv - sw - szl - ta - te - tet - tg - th - ti - tk - tl - tlh - tn - to - tpi - tr - ts - tt - tum - tw - ty - udm - ug - uk - ur - uz - ve - vec - vi - vls - vo - wa - war - wo - wuu - xal - xh - yi - yo - za - zea - zh - zh_classical - zh_min_nan - zh_yue - z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