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also ebooksgratis.com: no banners, no cookies, totally FREE.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백제 온조왕 - 위키백과

백제 온조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제 온조왕
[[그림:{{{그림}}}|200px]]
재 위
BC 18년 ~ AD 28년
성 명 {{{성명}}}
별 명 {{{별명}}}
왕 비 {{{왕비}}}
황 후 {{{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왕 가 {{{왕가}}}
황 가 {{{황가}}}
부 왕 {{{부왕}}}
부 황 {{{부황}}}
부 친 {{{부친}}}
모 비 {{{모비}}}
모 후 {{{모후}}}
모 친 {{{모친}}}
앞선 왕 {{{이전 왕}}}
앞선 황제 {{{이전 황제}}}
앞선 천황 {{{이전 천황}}}
다음 왕 다루왕
다음 황제 {{{다음 황제}}}
다음 천황 {{{다음 천황}}}
백제의 초대 국왕

온조왕(溫祚王, ? - 28년)은 백제의 시조이다. 아버지는 고구려인 우태이며, 어머니는 동명성왕이 고구려건국 후 혼인한 소서노이다.

목차

[편집] 생애

동명성왕의 적자 유리부여에서 고구려로 와 왕태자가 되자 형인 비류와 함께 한반도의 남쪽으로 내려갔다. 비류는 미추홀(彌鄒忽)에 자리를 잡았고, 온조는 하남위례성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의 이름을 ‘십제(十濟)’라 했다. 미추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 살 수 없어 백성들이 위례로 떠나자 비류는 자결했고, 온조는 이들을 받아들인 뒤 나라의 이름을 백제라 하였고, 이 이름은 성왕남부여로 바꿀 때까지의 국호가 되었다. 이때 본래 성(姓)은 해(解)였으나, 그 계통은 고구려와 더불어 부여에서 같이 나왔기 때문에 이후 부여(扶餘)를 성으로 삼았다.

백제 건국 설화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백제본기는 상기한 시조 온조설에 입각해 있으나, 백제의 건국에 대해서는 시조 비류설시조 구태설 등 다른 설도 있다.

기원전 17년 3월 족부(族父:왕의 7촌 형제) 을음(乙音)을 우보로 삼았다. 기원전 16년9월에 말갈이 침입해 왔지만, 백제에게 대패해 달아났다. 그 군사력을 바탕으로 기원전 15년에는 동예와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11년에는 말갈의 대대적인 공격이 이루어졌지만, 10만에 식량이 떨어져 후퇴하다가 온조왕에게 500명이 죽었다. 기원전 8년에는 동예의 국경에 목책을 세웠는데, 동예가 말갈과 함께 목책을 부수고 백제인 100명을 죽이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 후에 백제는 동예와의 관계를 끊고 목책을 새웠다. 기원전 4년에는 도읍을 위례성에서 한성으로 옮기자 그 틈을 노려 기원전 1년에 위례성을 함락했다. 서기 1년에는 말갈이 쳐들어 왔지만 추장이 생포되였다. 그리고 위례성을 쳐들어간 보복으로 동예를 쳐들어 갔지만 폭설 때문에 계획이 좌절되고 말았다. 4년 8월에는 석두와 고목에 성을 쌓았고 6년 7월에는 남쪽 경계에 목책을 쌓았다. 하지만 마한의 압력으로 목책을 철거했다. 7년 2월에는 왕궁의 우물이 넘첬고 말이 소를 나았는데 머리가 하나고 몸이 2개였다. 온조왕은 그것이 길조라고 생각하여 합병계획에 들어갔고 9년 2월에는 마한을 완전히 합병했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따르면 온조왕은 9년마한을 정복하고 백제의 판도를 세운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 마한을 복속시킨 것은 고이왕때로 이에 이르러 완전히 끝났다는 것이 정설이다. 10년 7월에는 대두산성을 쌓았고 16년 10월에는 마한의 옛 장수 주근이 우곡성을 거점으로 쿠데타를 일으켰다. 하지만 반란은 1달만에 진압되고 주근은 자결했다. 그 후, 백제는 탕정성, 고사부리성을 쌓았고 원산성과 금현성을 수리했다. 22년 9,11월에는 말갈이 술천성, 부현성을 습격하였지만 간신히 적을 퇴치했다. 온조왕은 28년 2월에 생을 마감했다.

[편집] 온조왕의 이름

백제의 왕들은 대부분 이름을 남기지 않고 있는데, 온조왕 역시 마찬가지이다. 유사시도 아닌데 왕의 이름을 그대로 묘호로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박영규는 자신의 저서에서 온조의 온(溫)을 우리말의 '100' 혹은 '모두'로 해석하고, 조(祚)를 등조(登祚:왕위에 오른다) 등에서 볼 수 있듯, 일반적으로 묘호에서 사용되는 조(祖)와 같은 것으로 해석하여, 온조라는 묘호를 '모든 것의 왕'으로 해석한다. [1]

[편집] 참고


앞선 왕
없음
제 1 대
기원전 18년 - 28년
다음 왕
다루왕

[편집] 출처

  1.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의 '온조왕실록'


aa - ab - af - ak - als - am - an - ang - ar - arc - as - ast - av - ay - az - ba - bar - bat_smg - bcl - be - be_x_old - bg - bh - bi - bm - bn - bo - bpy - br - bs - bug - bxr - ca - cbk_zam - cdo - ce - ceb - ch - cho - chr - chy - co - cr - crh - cs - csb - cu - cv - cy - da - de - diq - dsb - dv - dz - ee - el - eml - en - eo - es - et - eu - ext - fa - ff - fi - fiu_vro - fj - fo - fr - frp - fur - fy - ga - gan - gd - gl - glk - gn - got - gu - gv - ha - hak - haw - he - hi - hif - ho - hr - hsb - ht - hu - hy - hz - ia - id - ie - ig - ii - ik - ilo - io - is - it - iu - ja - jbo - jv - ka - kaa - kab - kg - ki - kj - kk - kl - km - kn - ko - kr - ks - ksh - ku - kv - kw - ky - la - lad - lb - lbe - lg - li - lij - lmo - ln - lo - lt - lv - map_bms - mdf - mg - mh - mi - mk - ml - mn - mo - mr - mt - mus - my - myv - mzn - na - nah - nap - nds - nds_nl - ne - new - ng - nl - nn - no - nov - nrm - nv - ny - oc - om - or - os - pa - pag - pam - pap - pdc - pi - pih - pl - pms - ps - pt - qu - quality - rm - rmy - rn - ro - roa_rup - roa_tara - ru - rw - sa - sah - sc - scn - sco - sd - se - sg - sh - si - simple - sk - sl - sm - sn - so - sr - srn - ss - st - stq - su - sv - sw - szl - ta - te - tet - tg - th - ti - tk - tl - tlh - tn - to - tpi - tr - ts - tt - tum - tw - ty - udm - ug - uk - ur - uz - ve - vec - vi - vls - vo - wa - war - wo - wuu - xal - xh - yi - yo - za - zea - zh - zh_classical - zh_min_nan - zh_yue - z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