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좌진 | |
---|---|
김좌진 |
|
출생 | 1889년 12월 16일/ 1889년 음력 11월 24일 대한제국 조선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
사망 | 1930년 1월 24일/ 1929년 음력 12월 25일 암살 |
배우자 | 오숙근 |
자녀 | 아들 - 김두한 (아니라는 설이 있음) 손녀 - 김을동 |
김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4일~1930년 1월 24일/1929년 음력 12월 25일)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군인이다. 호는 백야(白冶)이다. 청산리 전투을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피살되었다.
목차 |
[편집] 생애
- 1889년 음력 1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출생
- 1904년 - 해주 오씨 오숙근과 결혼
- 1905년 - 서울로 올라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 같은 해, 가노 해방 및 전답 무상 분배
- 1907년 - 호명학교 설립. 가산을 정리하여 학교 운영에 충당하게 하고 90여 칸의 자기 집을 학교 교사로 제공하였다. 그리고 홍성에 대한협회 지부와 기호흥학회를 조직하여 애국 계몽 운동 전개
- 1909년 - 기호흥학회 장학재단 설립. 한성신보 이사 역임. 안창호·이갑(李甲) 등과 서북학회를 세우고 산하 교육기관으로 오성학교(五星學校)를 설립하여 교감을 역임. 한편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협력
- 1911년 - 북간도에 독립군 사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하여 자금조달 차 돈의동(敦義洞)에 사는 족질 김종근(金鍾根)을 찾아간 것이 원인이 되어, 2년6개월간 서대문감옥에 투옥
- 1917년 -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단장에 취임. 노백린, 신현대(申鉉大), 박상진, 채기중(蔡基中) 등이 중심이 된 단체임
- 1918년 - 만주로 망명. 대한정의단에 합류한 군사부문 책임자가 됨. 동 단체를 군정부로 개편한 후 사령관으로 추천. 같은 해,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
- 1919년 - 북로군정서 사단장으로 취임. 사관연성소 소장 겸임
- 1920년 - 10월 21일 ~ 10월 26일, 청산리 전투 지휘.
- 1921년 - 대한독립군단 결성 (3,500여 명)
- 1921년 - 6월 22일, 자유시 참변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내고 만주로 퇴각.(이후 반공주의자가 됨)
- 1925년 - 신민부 창건(군사위원장 겸 사령관 직 겸임)
- 1928년 - 한국유일독립당 조직
- 1929년 - 한족총연합회 주석 취임
- 1930년 - 1월 24일 고려공산청년회 소속 사회주의자 박상실에게 암살
- 1957년 - 부인 오숙근 씨가 세상을 떠남
-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중장이 추서되었다.
[편집] 청산리 전투
1920년의 청산리 전투 전과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박은식《독립운동지혈사(獨立運動之血史)》에서는 독립군 사령부 보고에 의해 1600명, 중국 관헌 보고에 의해 1300명, 그리고 일본영사 비밀보고(존재여부 미확인)에 의해 가노 노부테루(加納信暉) 연대장 이하 연대장 2명, 소대장 9명, 병졸 900여 명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범석의 《우둥불》에서는 1000여 명으로 주장하는 등, 한국측 자료에서는 일본군의 피해에 대해 1000명 대의 전사자수를 기록하고 있으나, 당시 일본군의 기록인 조선군사령관 보고 및 일본 육군 19사단의《間島事件鮮支人死傷者調》에서는 전사자 11명, 부상자 24명으로 보고 있으며, 장교의 사상은 없다.[1]
[편집] 그의 죽음과 관련된 여러가지 이야기
- 중국 측에서는 백야를 죽인 자가 조선공산당 아성총국에서 파견한 무장공작대원 공도진(박상실)이라고 함.
- 암살범 공도진은 최동범, 이복림, 박상실 등 여러 가명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짐.
- 여류소설가 강경애가 김좌진장군 암살교사범 동거녀였다는 주장이 제기됨.
- 양환준은 김좌진이 자유시 참변 후 좌익인물들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일경에 제공해 주고 그 대가로 활동대금을 받았기 때문에 청년단원에게 암살당했다고 증언함.
- 일제에 매수당한 김일성(金一星; 북조선 김일성[金日成]과는 별개 인물임)이 박상실을 끌어들여 김좌진 암살을 부탁하였다고 함.
- 조선공산당 ML파 조직에서 활동했던 지희겸(전 연변대교수)도 김좌진이 하얼빈 일본영사관 경찰부장 마쓰시마와 밀담한 이후 좌익인 공산주의자들을 많이 살해하였으니, 만약 화요회에서 죽이지 않았더라면 우리 ML파 공산당에서 죽였을 것이라고 증언함.
- 일본제국이 조선 민족세력의 분열을 꾀하기 위해 좌·우익간의 대립을 부채질하였고 그 때문에 와전된 낭설이 퍼져 공산당이 김좌진을 오해하여 죽였다는 설이 있음.
[편집] 어록비
독립기념관에 〈단장지통〉이라는 시를 적은 어록비가 서 있다.
적막한 달밤에 칼머리의 바람은 세찬데
칼끝에 찬서리가 고국생각을 돋구누나
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웬말인가
단장의 아픈마음 쓰러버릴 길 없구나
[편집] 가족 관계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 ↑ 佐々木春隆(1985)《韓国独立運動史の研究》(東京:国書刊行会)pp. 502-514
|
---|
김교헌 · 김규식 · 김동삼 · 김약연 · 김좌진 · 김학만 · 류동렬 · 문창범 · 박성태 · 박용만 · 박은식 · 박찬익 · 손일민 · 신규식 · 신채호 · 안정근 · 안창호 · 여준 · 윤세복 · 이광 · 이대위 · 이동녕 · 이동휘 · 이범윤 · 이봉우 · 이상룡 · 이세영 · 이시영 · 이탁 · 이승만 · 이종탁 · 임방 · 정재관 · 조용은 · 조욱 · 최병학 · 한흥 · 허혁 · 황상규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