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완용(李完用, 1856년 6월 7일~1926년 2월 12일)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으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 중 한 명으로 대한제국을 일본에게 바친 친일 매국노의 수뇌이자 대명사로 불린다.
자는 경덕(敬德), 호는 일당(一堂). 본관은 우봉(牛峰)이다.
목차 |
[편집] 생애
1882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한 후, 규장각 대교 검교, 홍문관 수찬, 동학교수, 우영군사마, 해방영군사마(海防營軍司馬) 등을 거쳐 육영공원(育英公院)에 입학하여 영어를 배웠고, 사헌부 장령, 홍문관 응교 등의 벼슬을 지내고, 1887년 주차미국참찬관(駐箚美國參贊官)으로 도미했다. 1888년 5월에 귀국하여 이조참의를 지냈다. 1888년 12월에 다시 참찬관으로 미국에 갔다가 1890년 10월에 귀국하여 우부승지, 내무참의, 성균관 대사성, 공조참판, 육영공원 판리, 외무협판 등을 거쳐 1895년 5월 학부대신이 되었다.[1] 또한, 주미 공사로서 2년을 지내기도 하였다.
1896년 아관파천 때 친러파로서 외무대신이 되고, 그 후 친일파로 변신, 1905년 학부대신이 되어 을사조약 체결 때 일본의 무력을 업고 고종을 협박, 조약을 체결케 함으로써 을사오적의 수괴가 되었다. 1905년 12월에는 의정대신 서리, 외부대신 서리를 겸직하고 1907년 의정부 참정이 되어 의정부를 내각으로 고친 다음, 조선 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추천으로 내각총리대신이 되었다. 헤이그 밀사 사건 후 일본의 지시대로 일진회(一進會) 회장 송병준(宋秉畯) 등과 함께 고종에게 책임을 추궁, 양위를 강요하여 마침내 순종에게 양위케 했다. 이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항일 의거가 일어나고, 그의 집은 의거 민중에 의해 불태워졌으며 이완용은 이재명의 칼을 맞고 부상했다.
1910년 8월 22일에는 총리대신으로 정부 전권위원이 되어 데라우치 마사타케 통감과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였다.그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백작 작위를 받았다. 1919년 3·1 운동 때도 동포를 공갈하는 경고문을 3회 발표하였다. 1920년에 후작으로 승급했다. 1921년 중추원 고문 겸 부의장을 지냈다.[2]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3][4] 이완용은 글씨를 잘 써서 유명한 서예가이기도 했다.
[편집] 사후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는 아들 이항구와 함께 선정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명단에는 손자인 이병길도 들어있다.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이완용과 이병길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했다.[5]
[편집] 가족 관계
|
|
|
이호준 (李鎬俊) |
|
|
|
|
|
|
조병익 (趙秉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윤용 (李允用) |
|
이완용 (李完用) 이호준 아들로 입적 |
|
조씨(趙氏) | 조민희 (趙民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명구 (李明九) |
|
|
|
이승구 (李升九) |
|
이항구 (李恒九) |
|
조중수 (趙重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병태 (李丙台) |
|
이병길 (李丙吉) 이승구 아들로 입적 |
|
이병희 (李丙喜) |
|
이병주 (李丙周) |
|
이병철 | |||||||||||||||||||||||||||||
- 아버지: 이호석(李鎬奭)
- 어머니: 신씨(辛氏)
- 양 아버지: 이호준(李鎬俊)
- 아내: 조씨(趙氏)- 조병익(趙秉翼)의 딸.
- 맏아들: 이승구(李升九)
- 둘째 아들: 이항구
- 손자: 이병길, 이병희(李丙喜), 이병주, 이병철
[편집] 바깥 고리
- 독립문 현판글씨는 이완용 작품
- "독립문 편액은 매국노 이완용 글씨" --오마이뉴스 2004-02-23
- 독버섯’친일잔재 고발 --경향신문 2003-02-21 17:39
- 한국방송 역사프로그램〈한국사 전(傳)〉 '독립협회장 이완용, 그는 왜 매국노가 되었나?' (2008년 6월 14일 방영)
[편집] 참고 자료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6년 12월). 〈이완용〉, 《2006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99~144쪽. 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2월 1일). 〈이완용 : 한입‘합방’의 주역이었던 매국노의 대명사 (강만길)〉, 《친일파 99인 1》.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17.
[편집] 주석
- ↑ 반민족문제연구소,《친일파99인》1권 (돌베게, 1993년) 49~50쪽(강만길 집필 부분)
- ↑ 김삼웅 (1995년 7월 1일). 《친일정치 100년사》. 서울: 동풍, 55. ISBN 9788986072037.
- ↑ 성강현.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일요시사》, 2004년 3월 18일. 2008년 4월 16일에 읽어봄.
- ↑ 성강현.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일요시사》, 2004년 3월 18일. 2008년 4월 16일에 읽어봄.
- ↑ 이민정. "재산 환수되는 친일파 9인은 누구? - 권중현·이완용 등 을사오적 중 일부 포함", 《오마이뉴스》, 2007년 5월 2일. 2008년 4월 13일에 읽어봄.
|
|
---|---|
을사조약 | 을사오적 - 이완용 · 이근택 · 이지용 · 박제순 · 권중현 |
한일신협약 | 정미칠적 - 이완용 · 송병준 · 이병무 · 고영희 · 조중응 · 이재곤 · 임선준 |
한일 병합 조약 | 경술국적 - 이완용 · 윤덕영 · 민병석 · 고영희 ·박제순 · 조중응 · 이병무 · 조민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