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also ebooksgratis.com: no banners, no cookies, totally FREE.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북송 - 위키백과

북송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역사
중국의 역사   v · d · e  
신화와 고대
선사 시대
신화·삼황오제
기원전2000? – 기원전1600?
기원전1600? – 기원전1046
기원전1122 – 기원전256
  서주
  동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제국의 시대
기원전221 – 기원전206

기원전206 – 서기220
  전한
  8 – 23
  후한

삼국 시대 220–280
  , ,
265 – 420
  서진
  동진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남북조 시대 420 – 589
581 – 619

618 – 907
무주 690 – 705

오대십국 시대
907 – 960

907 – 1125

960 – 1279
  북송 서하
1038 – 1227
  남송
1115 – 1234
1271 – 1368

1368 – 1644


1644 – 1912

현대의 중국
중화민국 1911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1949 – 현재

중화민국 (타이완)

1111년의 북송.
1111년의 북송.

북송(北宋, 960년 ~ 1126년)은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이다. 조광윤(趙匡胤)이 오대 최후의 왕조 후주에게서 선양을 받아 카이펑(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이다. 국호는 이었으나, 금나라에 의해 카이펑에서 쫓겨나 남하한 뒤에는 남송과 구별하여 북송이라 불리었다. 남송과 더불어 송, 송조(宋朝)라고 한다. 북송시기의 수도는 카이펑.

목차

[편집] 역사

후주의 전전도점검(殿前都点検;근위대장)이었던 조광윤이 후주 최후의 황제에게서 선양을 받아 건국하였다. 조광윤은 남은 10국을 정복하여 분열상태의 중국을 재통일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병사했다. 뒤를 계승한 이는 동생 조광의(趙匡義(趙光義)였는데, 이 계승에 관해서 불분명한 부분이 많아 촉영부성(燭影斧聲)라는 의혹의 말이 퍼졌었다. 태종(太宗)이 된 조광의는 형의 사업을 물려받아 중국통일을 이루고, 과거제도의 충실을 노렸다. 과거제도는 태종의 아들 진종(眞宗)의 대에 완성되었다.

과거제도의 확립은 황제독재권의 강화를 가져왔으나 동시에 과도한 문관대우로 인해 군사력의 쇠퇴을 불러왔다. 1004년 북쪽의 요나라가 남하하여 송나라을 침공하였다. 진종은 친히 군대을 이끌고 맞아 싸웠으나 요나라에게 매년 재물을 보내는것으로 화의했다. (단연의 맹세) 또 요나라의 침공과 동시에 서쪽의 탕구트족은 서하을 건국하고 송나라에 반기를 들었으나, 이것도 1044년 재물을 보내는것으로 화의했다(경력의 화약).

이 맹세로 인해 평화를 얻은 송나라는 압도적인 경제력을 배경으로 높은 문화의 꽃을 피웠다. 이 시기에는 회화, 도자기, 한시등 여러분야에서도 중국역대에서도 최고봉이라 칭해지는 작품이 적지않게 있다. 또 경제발전과 함께 일반백성의 경제력도 향상되어 수도 카이펑에는 밤이 없을정도로 활기가 끊이지 않았고, 도시에서 자유롭게 시장을 열어 도단에서는 강담 및 예술인이 시민들의 귀와 눈을 즐겁게 했다.

또 후세에 이르러, 요나라와 서하(후에 남송시대의 금나라도 포함)에 재물을 바쳐 평화를 얻은것을 재정면 및 민족주의적인 측면에서 비난하는 의견도 있으나, 이것으로 인해 요나라 및 서하의 지배계층을 추락시켜 상대국의 군사력 약체화을 초래한 것도 있고, 견직물 및 도자기, 차등을 애호하는 습관이 이들 여러나라의 사회전체에 널리 퍼뜨려 수입량이 증가하여 바쳐진 재물을 상회하는 재물이 송나라측으로 역으로 흘러들여가게되어, 결과적으로 송나라의 경제력 강화와 연결된 측면도 있다.

[편집] 신법-구법의 다툼

그러나 이 경제적 발전의 이면에는 사회적 모순도 진행되어 민중들간의 경제적 격차는 매우 커지게 되었다. 또한 요나라, 서하에 대한 방어에 사용된 군사비가 국가재정에 커다란 부담을 안겨주었고, 그외 대상인, 대지주의 세수(稅收)의 감소는 무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어, 어떻게든 개혁이 요구되었다.

6대 황제 신종(神宗)은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국정개혁에 나섰다. 이 움직임을 신법, 왕안석의 신법이라고 불렀다. 이 신법은 주로 영세농민의 보호와 대상인, 대지주의 억제을 목표로 한것이기에 신법은 지주, 상인세력과 그곳 출신인 관료들의 엄청난 반대을 불러 일으켰다. 이들 반대파들을 가리켜 구법파(旧法派)라고 불렀다.

이 신법파와 구법파의 다툼은 나날이 격렬해져갔다. 신법파의 왕안석에 대해 구법파의 대표자는 사마광(司馬光)이었다. 이 두사람이 살아있던 기간에는 당파의 다툼은 높은 이념에 의한 것이었으나, 두 사람이 죽은 후에는 당리에 의한 이념 다툼으로 추락했다. 신법파가 이기면 구법파의 관료는 한거번에 중앙에서 멀어졌고, 법률을 모두 개정하였지만, 그후에 구법파가 득세할때에는 오히려 반대의 일이 벌어지는 상황이 비일비재하였다.

이러한 다툼은 국가체제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서서히 송나라의 국력은 기울어져갔다.

[편집] 멸망

8대 황제 휘종(徽宗)은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갖춘 군주로써, 그의 회화는 북송시대 뿐만 아니라 중국 역사에서도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황제로써 한 일은 채경(蔡京), 고구(高俅), 이언(李彦), 동관(童貫)등 황제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측근들에게 영향을 받아 자신의 예술을 위해 거대한 정원석 및 정원목을 먼 남쪽에서 운반하는데 거액의 국비을 사용하고(화석망), 그 구멍을 메우기 위해 신법을 이용하여 증세을 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이에 대해 민중반란이 빈발하고, 군대는 이들을 진압하기에 바빴다. 이 시기 반란중 한가지에 힌트을 얻어 이야기을 부풀리고, 강담으로써 널리퍼져, 후에 이것을 집대성한 작품이 바로 『수호전(水滸伝)』이다.

이때 북쪽의 숙적이던 요나라는 중국 동북지방 만주에서 일어난 여진족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여진족은 요나라의 착취에 대항해 부족이 단결하여 1115년 스스로 나라를 세우니 이것이 바로 금나라였다. 이 여진족을 주목한 송나라 정부는 금나라에 대해 공동으로 요나라을 공격하자고 약속하였다(해상의 맹세).

1121년 금나라와 공동으로 출병하여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연운십육주의 일부를 되찾았으나, 반환전에 연운십육주 전지역은 금나라 군대에 의해 약탈당하고, 주민들은 북방으로 강제이주 당했기에 당분간 이 지방에서 세수을 바라지는 못했다. 이 금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요나라의 잔당과 손을 잡은것에 대해 금나라의 분노를 사게 되어, 1127년 카이펑을 함락당하고, 황제 흠종, 상황 휘종을 북쪽으로 연행해 갔다. 이것을 정강의 변이라고 부른다. 흠종의 동생이었던 조구가 남쪽으로 도망쳐 항주에서 황제를 선언하고, 지형 및 기후 관계로 금나라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치지 못하던 회하이남의 땅을 확보하여 송나라을 재흥하였다. 이때부터 송나라를 남송이라고 불렀다.

[편집] 정치

[편집] 문치주의

당나라가 각지에 군벌이라고 불리는 절도사의 할거을 용인하여 이윽고 오대십국 시대의 병란까지 이르는것을 본 태조 조광윤이 세운 송나라 왕조는 각지의 유력자 세력을 전시(殿試)을 실시하는등, 과거을 본격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해 명실공히 문신 관료체제가 완성의 영역에 도달하였다. 진나라이전, 오호십육국 시대, 남북조 시대, 오대십국 시대의 군웅할거 상황은 이 이후 중화왕조에서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보이지 않게 되었다.

송나라 시대의 지배체제는 당나라 시대의 귀족층이 오대십국의 병란을 통해 몰락한 후, 사대부(士大夫)라 불리는 새로운 계층이 중심이 되었다. 사대부는 교양을 지닌 부유한 시민이라는 뜻을 가진 존재로써 학문을 쌓고 과거에 합격하여 관료가 되는 것으로 귀족이란 혈연에 의해 존경을 받는것이 아니라 과거의 합격자을 배출해 현관으로 오르는 일이 주위의 존경을 모아, 지방의 간판같은 존재가 되어 재산을 쌓았다. 반대로 이야기 하자면 재산을 쌓을 수 있는 출세한 인간이 이 일족에서 나오지 않는다면, 존경은 받지 못하고, 재산도 이윽고 소멸된다는것을 말하는 것이다.

황제가 이러한 사대부 출신의 관료을 수족으로 사용하여 국정을 담당하게 한 체제는 [황제전제], [군주독재]라고도 칭하였다. 다만 또 한편으로는 진종의 사망후, 어리고 병약한 황제가 차례로 즉위하고, 송나라 황실과는 혈연관계가 없는 황태후 나 태황태후가 황제의 직무을 대행하여, 정치을 안정시킨일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러한 사대부층은 관료이면서 동시에 지주, 대상인이었기에 모든 문화을 독점하게 되었다. 이 이후 중국에서 다음 원나라시대을 제외하고는 역사의 무대에 등장한 이들은 거의 사대부로 제한되었고, 그 외로는 누르하치을 비롯한 왕조 창설기의 인물과 그 주위에 있던 존재로써 이자성, 홍수전이라 말 할 수 있는 반란지도자들 뿐이었다.

[편집] 과거제도

수나라 문제에 의해 시작된 과거제도였으나, 과거가 진정한 의미로 효과를 발휘하게 된것은 송나라 시대라 말할 수 있다. 당나라에서는 과거을 통과하더라도 귀족층의 방해를 받아, 몇년이 지나도 관직을 받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한유(韓愈)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송나라 시대에는 귀족층의 몰락으로 인해 이러한 일은 없었다.

송나라 시대에서의 과거제도의 주요 변경점으로 즉 전시을 시작한 일을 꼽을 수 있다. 이때까지는 지방에서 1차 시험으로 실시한 해시(解試), 중앙에서 2차 시험으로 실시한 회시(會試)의 2종류가 있었는데, 이들 시험 위에 황제의 눈앞에서 실시한 전시을 만든것이었다.

처음에는 전시에 의해 낙제한 사람도 있었으나, 낙제한 사람은 기본적으로 없었다. 또 그때까지 많은 수의 과거 과목(교과의 일은 아니고, 수험코스)을 진사(進士), 명법(明法)등으로 나눠었으나, 신종시기에 진사과 하나로 만들었다. 이 이후로 과거의 합격자을 진사라고 부르게 되었다.

과거제도에 있어서 매년 시험관이 그해 합격자와 사제관계을 맺어 이것이 관계(官界)에 관련된 인맥의 기초가 되었다. 낙제자가 없었던 전시가 존재하는 의미도 여기에 있기에, 황제와의 사이에서 사제관계을 맺는 일이 황제의 직속 관료라는 의식을 생겨나게 하였다.

송나라 시대에는 중국 역사상 가장 과거가 성행하던 시대여서, 거의 3년에 1번 시행되었고, 1회에 약 3~400명이 합격하였다. 그중에는 수석합격자을 가리켜 장원(状元)이라고 불렀다.

송나라 시대에는 그때까지 보이지 않았던 개인이 국가을 책임지려는 기개가 보였다. 신법,구법의 다툼에서도 그 기개가 . 그 원천이라 할 수 있는것은 과거에 의해 실력으로 지위을 얻은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 것이다. 송나라 시대을 통해 관료와 관료예비군인 학생들의 세력은 매우 강해져, 학생들의 운동에 의해 재상이 탄핵을 받은 일도 있었다.

[편집] 관료제도

송나라 시대 관료제도는 북송의 원풍(元豊)년간을 경계로 크게 변화하였다. 송나라 초기이래 원풍개혁때까지는 오대의 영향을 크게 받아, 당나라 제도에 의거한 관명이 기록관(寄禄官;봉급표(俸給表)으로 변화해 실제 직함을 표시하지 않는등, 당나라 제도 및 명,청시대의 관료체계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예를들어 육부(六部)의 시랑(侍郞) 및 원외랑(員外郞)은 실제로는 육부의 일을 하지 않고, 봉급의 단계을 표시하는데 쓰였다. 이 시대의 관료제도을 간단하게 서술한다면 아래와 같다.

중앙관제는 형식상 옛부터 내려온 삼성육부(三省六部), 구사(九寺), 오감(五監)을 유지하였다. 그중에 중서성(中書省)이 문하성(門下省)의 권한을 흡수하는 형태로 권한이 집중화된 재상부(宰相府)가 있었고, 재상은 동중서문하평장서(同中書門下平章事)라고 불리어, 1명이 아닌 3명이 선택되었고, 부재상으로써 참지정사(参知政事)가 여러명 선택되었다.

재상부는 민정을 담당하고, 군사을 담당한 것은 추밀원(枢密院)이었다. 추밀원의 장관 추밀사(枢密使)와 부장관 추밀부사(枢密副使)에 참가정사을 합쳐 집정(執政)이라 불렸고, 재상과 집정이 전체의 정무을 맡았다.

행정기관인 육부, 구사, 오감이 있으나, 이들은 실제로는 아무런 역할이 없었고, 대신하여 실제 행정을 맡았던 사직(使職)이라 불리는 관직이 있었다.

  • 삼사(三司) - 재정을 담당.
  • 어사태(御史台) - 관료을 감찰.
  • 심사원(審官院) - 인사담당.
  • 태사예의원(太常礼儀院) - 제사담당.
  • 심형원(審刑院), 형부(刑部), 대리사(大理寺) - 재판담당.

등의 관직이 담당했다.

옛부터 내려온 관직명은 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그 일이 단계에 존재하는것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했다. 말하자면 당나라 시대의 삼품(三品)의 위라는 것이 구품(九品)의 아래라고 말할 수 있는것과 같다.

지방관제에 의거한 최대 행정구분으로 (路)가 있고, 그 아래에 부(府), 주(州), 군(軍), 현(縣)이 존재했다. 주의 장관은 지(知)~주(州; ~의 부분에는 주의 이름이 들어간다)라고 불렸고, 그 부관으로써 통판(通判)이란

[편집] 군사제도

송나라의 군사제도는 위병제였다. 태조는 절도사들의 권력을 제한하는 동시에, 자신의 출신모체였던 금군을 강화시켜, 이것을 정규군으로 삼았다. 이 정책으로 인해 중앙의 힘이 강해지고, 절도사가 지방에서 할거하는것을 억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금군의 사령관에서 황제가 된일을 교훈삼아, 금군의 제도을 개혁하여 전군의 사령관직을 폐지하고 황제직속으로 그 하부의 존재로써 있던 장군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규군인 금군과 치중병이었던 상군이 있었고, 상비군은 북송 중기에 140만을 헤아렸다. 그러나 숫자만 많을뿐, 실제 전투에서는 불안한 병사가 많았었다. 또한 문인중시주의로 다른 무인들은 경시받아 그 결과 병사을 뽑는것에 고충이 많아지게 되어, 병사들은 죄인출신자가 뽑히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대책중 한가지로 왕안석은 보마법이라 말해지는 군제개혁안을 내놓았다. 보마법은 군마을 사육하는 일을 장려하는 것으로 보병이 많은 송나라군이 기병을 증가시켜 전력향상을 노리기 위해 실시한 것이었다.

[편집] 개혁

송나라는 관료가 역대왕조 중에서도 가장 우대받았던 시기였고,

[편집] 역대 황제

북송 황제와 연호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 송 성조
(宋聖祖)
(송 태조 추숭)
- 조현랑(趙玄朗) - -
- 송 희조
(宋僖祖)
(송 태조 추숭)
문헌황제
(文獻皇帝)
조조(趙朓) - -
- 송 순조
(宋順祖)
(송 태조 추숭)
혜원황제
(惠元皇帝)
조정(趙珽) - -
- 송 익조
(宋翼祖)
(송 태조 추숭)
간공황제
(簡恭皇帝)
조경(趙敬) - -
- 송 선조
(宋宣祖)
(송 태조 추숭)
무소황제
(武昭皇帝)
조홍은(趙弘殷) - -
제1대 송 태조
(宋太祖)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
성공지명대효황제
(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
聖功至明大孝皇帝)
조광윤(趙匡胤) 건륭(建隆) 960년 ~ 963년
건덕(乾德) 963년 ~ 968년
개보(開寶) 968년 ~ 976년
960년 ~ 976년
제2대 송 태종
(宋太宗)
지인응도신공성덕문무
예열대명광효황제
(至仁應道神功聖德文武
睿烈大明廣孝皇帝)
조광의(趙匡義) 태평흥국(太平興國) 976년 ~ 984년
옹희(雍熙) 984년 ~ 987년
단공(端拱) 988년 ~ 989년
순화(淳化) 990년 ~ 994년
지도(至道) 995년 ~ 997년
976년 ~ 997년
제3대 송 진종
(宋眞宗)
응부계고신공양덕문명
무정장성원효황제
(應符稽古神功讓德文明
武定章聖元孝皇帝)
조덕창(趙德昌) 함평(咸平) 998년 ~ 1003년
경덕(景德) 1004년 ~ 1007년
대중상부(大中祥符) 1008년 ~ 1016년
천희(天禧) 1017년 ~ 1021년
건흥(乾興) 1022년
997년 ~ 1022년
제4대 송 인종
(宋仁宗)
체천법도극공전덕신문
성무예철명효황제
(體天法道極功全德神文
聖武睿哲明孝皇帝)
조정(趙禎) 천성(天聖) 1023년 ~ 1032년
명도(明道) 1032년 ~ 1033년
경우(景祐) 1034년 ~ 1038년
보원(寶元) 1038년 ~ 1040년
강정(康定) 1040년 ~ 1041년
경력(慶曆) 1041년 ~ 1048년
황우(皇祐) 1049년 ~ 1054년
지화(至化) 1054년 ~ 1056년
가우(嘉祐) 1056년 ~ 1063년
1022년 ~ 1063년
제5대 송 영종
(宋英宗)
체건응력융공성덕헌문
숙무예성선효황제
(體乾應歷隆功盛德憲文
肅武睿聖宣孝皇帝)
조서(趙曙) 치평(治平) 1064년 ~ 1067년 1063년 ~ 1067년
제6대 송 신종
(宋神宗)
소천법고운덕건공영문
열무흠인성효황제
(紹天法古運德建功英文
烈武欽仁聖孝皇帝)
조욱(趙頊) 희녕(熙寧) 1068년 ~ 1077년
원풍(元豊) 1078년 ~ 1085년
1067년 ~ 1085년
제7대 송 철종
(宋哲宗)
헌원계도현덕정공흠문
예무제성소효황제
(憲元繼道顯德定功欽文
睿武齊聖昭孝皇帝)
조후(趙煦) 원우(元祐) 1086년 ~ 1094년
소성(紹聖) 1094년 ~ 1098년
원부(元符) 1098년 ~ 1100년
1085년 ~ 1100년
제8대 송 휘종
(宋徽宗)
체신합도준렬손공성문
인덕헌자현효황제
(體神合道駿烈遜功聖文
仁德憲慈顯孝皇帝)
조길(趙佶) 건중정국(建中靖國) 1101년
숭녕(崇寧) 1102년 ~ 1106년
대관(大觀) 1107년 ~ 1110년
정화(政和) 1111년 ~ 1118년
중화(重和) 1118년 ~ 1119년
선화(宣和) 1119년 ~ 1125년
1100년 ~ 1125년
제9대 송 흠종
(宋欽宗)
공문순덕인효황제
(恭文順德仁孝皇帝)
조환(趙桓) 정강(靖康) 1126년 ~ 1127년 1125년 ~ 1127년
다른 언어


aa - ab - af - ak - als - am - an - ang - ar - arc - as - ast - av - ay - az - ba - bar - bat_smg - bcl - be - be_x_old - bg - bh - bi - bm - bn - bo - bpy - br - bs - bug - bxr - ca - cbk_zam - cdo - ce - ceb - ch - cho - chr - chy - co - cr - crh - cs - csb - cu - cv - cy - da - de - diq - dsb - dv - dz - ee - el - eml - en - eo - es - et - eu - ext - fa - ff - fi - fiu_vro - fj - fo - fr - frp - fur - fy - ga - gan - gd - gl - glk - gn - got - gu - gv - ha - hak - haw - he - hi - hif - ho - hr - hsb - ht - hu - hy - hz - ia - id - ie - ig - ii - ik - ilo - io - is - it - iu - ja - jbo - jv - ka - kaa - kab - kg - ki - kj - kk - kl - km - kn - ko - kr - ks - ksh - ku - kv - kw - ky - la - lad - lb - lbe - lg - li - lij - lmo - ln - lo - lt - lv - map_bms - mdf - mg - mh - mi - mk - ml - mn - mo - mr - mt - mus - my - myv - mzn - na - nah - nap - nds - nds_nl - ne - new - ng - nl - nn - no - nov - nrm - nv - ny - oc - om - or - os - pa - pag - pam - pap - pdc - pi - pih - pl - pms - ps - pt - qu - quality - rm - rmy - rn - ro - roa_rup - roa_tara - ru - rw - sa - sah - sc - scn - sco - sd - se - sg - sh - si - simple - sk - sl - sm - sn - so - sr - srn - ss - st - stq - su - sv - sw - szl - ta - te - tet - tg - th - ti - tk - tl - tlh - tn - to - tpi - tr - ts - tt - tum - tw - ty - udm - ug - uk - ur - uz - ve - vec - vi - vls - vo - wa - war - wo - wuu - xal - xh - yi - yo - za - zea - zh - zh_classical - zh_min_nan - zh_yue - z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