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국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스라엘의 국기는 흰 바탕 위에 푸른 색의 다윗의 별이 가운데에 그려져 있으며, 이 별의 위와 아래에는 역시 푸른 색의 가로 선이 그어져 있다. 국기가 상징하는 것은 유대인이 기도할 때 덮어 쓰는 탈릿이라고 흔히 이야기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탄생한 5개월이 지난 10월 28일 1948년 채택되었다. 푸른 무늬의 색깔은 정부에서 "어두운 하늘색"이라고 지정해서 보통 단순한 파랑색이지만 짙은감색처럼 어둡거나 옅은 파란색을 가질 수도 있다.[1][2]
유랑과 유배로 점철된 유대인의 역사에서 1948년 그들이 말하는 아브라함과 다윗 왕의 땅에 독립 국가를 세운 후 이 상징 그림은 이스라엘의 공식 국기로 채택 되었다.
[편집] 기원
이스라엘의 국기는 탈리스에 새겨진 다윗의 별의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탈리스는 유대인 남성들이 아침예배에 입는 쇼올이다.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techelet이라고 불리는 남색 색깔의 물감을 썼었는데 그 당시 유대인 문화에 굉장히 중요했다고 한다.
나치 독일당시 유대인들의 독인 시민권을 박탈한 뉘른베르크의 법은 유대인들이 독일 국기를 게양하는 걸 금지했으며 유대인들의 색상을 파란색과 하얀색으로 지정했다.[3][4]
[편집] "나일강에서 유프라테스 강까지" 논란
몇몇 단체들이 이스라엘의 국기에 있는 파란 무늬들이 나일강과 유프라테스 강을 상징한다고 주장하며 유대인들은 몰래 두 강들 사이에 있는 땅들을 가지기 원한다고 주장한적있다. 소수의 시온주의자들은 1990년대 까지 실제로 나일강과 유프라테스 강이 신이 유대인들에게 약속해준 땅의 국경이라고 믿었다.[5] 이 땅은 요르단의 전체, 이집트와 시리아와 이라크의 땅을 포함한다.
이란, 야세르 아라파트와 하마스는 국기를 이스라엘이 주변의 나라들을 노린다는 증거로 쓴 적 있다.[6][7][8] 그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시오니스트와 시오니즘을 반대하는 작가들 모두 국기의 디자인은 탈리스에서 비롯되었다고 한적 있다.[8]
하마스의 서약은 "시오니스트들은 팔레스타인(을 삼킨) 다음 나일강에서 유프라테스강까지 확장하길 갈망한다"라고 선언했고 2006년 1월 이스라엘의 국기를 바꾸라고 요구했다.[9]
[편집] 주석
- ↑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ublication The Flag and the Emblem
- ↑ 여러 색깔을 가진 이스라엘의 국기 모음
- ↑ J. Boas: German-Jewish Internal Politics under Hitler 1933-1938, in: Leo Baeck Institute Yearbook, 1984, pp. 3-25. (Available online)
- ↑ 나치 독일의 뉘른베르크 법
- ↑ 창세기 15:18: 그날에 여호와께서 아브람과 언약을 맺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네 자손에게 이집트 강에서부터 큰 강 유프라테스 강까지 이 땅을 주었다."
- ↑ 플레이보이 인터뷰, 플레이보이 잡지, 9월 1988년.
아라파트: [이스라엘의 슬로건은] 민족의 야망을 보여줘. 요르단 강까지 전진하고 싶단 말이야. 이스라엘의 국기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
플레이보이: 아니.
아라파트: 하얗고 푸른 줄 두개가 있어. 두 줄은 두 강을 상징하고 그 줄 사이에 있는 것은 이스라엘이야. 강들은 나일강과 유프라테야. - ↑ Rubin, Barry. The PLO between Anti-Zionism and Antisemitism, Background and Recent Developments, The Vidal Sassoon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Antisemitism,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1993. Accessed Apr 3, 2006.
- ↑ 8.0 8.1 루빈스타인, 대니. Inflammatory legends, 하레츠, November 15, 2004. Accessed April 3, 2006.
- ↑ 샤일로, 스콧. Mofaz: Hamas Acting Responsibly; Hamas: Israel Must Change Flag, 아루츠 셰바, January 30, 2006. Accessed April 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