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이 문서를 정리해 주세요. |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나치가 공장 노동자·농민·회사원 등의 일반 근로자에게 국외 여행을 제공하기 위해서 건조한 여객선이다. 1945년 1월 30일에 현재 폴란드의 Gdynia로 되는 항구에서 동쪽 Pruisen의 피난민이나 부상병을 태워 출항한 후에 소련 해군의 잠수함에 격침되었다. 희생자 수로만 보면, 사상 최대의 해난 사고로 꼽힌다.
[편집]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건조와 변천
나치당의 Robert Ley가 인솔하는 독일 노동 전선의 하부조직인 환희 역행단의 여객선으로서 Hamburg의 브롬·운트·포스 조선 회사에 있어 총공비 2,500만 라이히스마르크를 들여 건조되었다. 건조시의 배수량은 25,484 t. 환희 역행단이 소유하는 배13척 중 한 척으로, 지중해 크루즈나 노르웨이의 fjord·크루즈를 제공했다.
배 이름은 1936년 2월 4일에 유태계 크로아티아인의 의학생 David Frankfurter에 사살된 스위스에 있어서의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지도자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에 유래한다. 본래, 아돌프·히틀러라고 명명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히틀러의 희망에 의해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로 변경되었다. 유태인에게 살해된 최초의 나치 당원을 선전에 이용했다.
- 1937년 5월 5일:구스틀로프 출석아래에 진수.
- 1938년-1939년 여름:대서양, 지중해, 노르웨이 등 여러 곳에서 크루즈 운항.
- 1939년 봄:스페인 내란의 흐랑코군승리에 크게 기여한 콘도르 군단을 귀국시키기 위해서 스페인의 비고항에 파견된다.
- 1939년 가을: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모항으로 병원선으로 탈바꿈.
- 1940년:발트해 연안의 Gdynia항에 회항, U보트 훈련 학교 요원의 호텔선으로 있었음.
- 1945년 1월 30일:Gdynia항으로부터 슈체친, 킬을 향해서 출항하지만 소련 잠수함 S13호에 의해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
[편집]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침몰
소련군의 맹공에 노출된 부상병과 민간인 200만명을 독일 서부 바다로 이주하는 카를 되니츠의 해상 피난 작전의 일환으로, 여객선이나 화물선, 군함 등 모든 종류의 배가 동원되었다. Gdynia에 머물던 구스틀로프호도, 1945년 1월 30일에 피난민을 수용해 출항했다.
공식 기록에는, 918명의 제2 잠수함 훈련 부대의 해군군인, 173명의 승무원, 373명의 해군 여성 보조 부대(de) , 162명의 부상병, 4,424명의 난민, 합계 6,050명이 승선하고 있었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승무원의 한 사람으로 있던 Heinz Schön는 당시 승객은 10,582명, 중 8,956명이 난민으로 대부분이 여성·아이였다고 말했다. 배는 2,000명 미만의 승객을 위해 건조되고 있었지만,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공용 공간이 많은 호화 크루즈선이었기 때문에, 많은 승객들을 태울 수 있었다. 다만 구명 용구는 1만명을 넘는 승객에 대해 인원수의 50%에도 못 미친 수였다.
구스틀로프호는 1945년 1월 30일 이른 아침 난민을 가득한 여객선과 2척의 어뢰정과 함께 출항했다. 여객선과 어뢰정 1척은 중간에서 문제가 일어나 항해를 같이 하지 않았다. 구스틀로프호는 어뢰정 1척만의 호위를 받으며 항해를 계속했다. 어뢰정은 민간인 3명, 군인 1명의 4명의 선장 유자격자를 태우고 있었지만, 그들은 잠수함 공격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항로로 가는 것에 대해 서로 이견을 보였다. 해군 소좌 Wilhelm Zahn는 해안에 가까운 얕은 바다를 점등하지 않고 항해하는 것이 좋다고 했지만, 67세의 최연장인 Friedrich Petersen은 승선자가 가득한 것을 이유로 깊은 바다를 지나기로 결정했다. 그는 무전으로부터 기계수뢰 부설함이 호위에 온다고 들었다. 어두운 가운데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배의 빨강과 초록의 항해등을 점등할 것을 결정했다. 이 때문에 구스틀로프호는 어두운 밤에서도 적으로부터 찾아내기 쉬운 상태가 되었다.
구스틀로프호는 곧 소련 잠수함 S13에 발견되어 곧 공격을 받아 오후 9시 넘어, 3발의 어뢰가 명중했다. 그 후 엄청난 소동이 이 일어났다. 많은 난민이 구명보트나 구명 조끼를 구하려고 난리가 났다. 하지만 정원의 반도 준비하지 못한 구명 조끼나 보트가 있을리 없었다. 곧 구명 용구들은 없어졌다. 이 시기의 발트해의 수온은 섭씨 4℃이지만, 이 날은 특히 추위가 심한 날로, 수온은 마이너스 10℃로부터 마이너스 16℃에까지 내려가서 해상에는 얼음이 떠 다니고 있었다.
어뢰 공격을 받은지 1시간 10분후, 그러니깐 오후 오후 10시 10분쯤 구스틀로프호는 침몰했다. 많은 사람들이 차가운 물에서 허우적거렸다. 생존자는 1,216명(독일어판에서는 1,252명)이었다. 어뢰정 레이베호는 472명을 구출하고 침몰 직후에 달려 든 어뢰정 T36가 564명을 구출했다. 소해정 M341는 37명을, 잠수함 보급선 TS II는 98명을, 화물선 겟틴겐은 28명을 구출했다. 다음 31일 아침, 난민 수송중의 화물선 고텐란트호는 9명을 바다로부터 구해 훈련 어뢰 회수정TF 19는 7명을, 감시선 Vp 1703은 1명을 구출했다. 독일 해군은 구출을 위해 현장 해상에 가능한 한 모든 선박을 향하게 했다.
사망자의 상당수는 어뢰의 공격으로 직접 죽었다. 어뢰의 공격을 피한 사람들은 바다에 빠져 죽었다. 어느 증언자에 의하면, 첫 공격을 당한 후 배의 통로는 승객의 비명이나 흥분으로 아수라장이 되었다. 다른 생존자는, 양손이 잘린 여성을 보았다고 증언했다. 다른 사람들은 차갑게 언 어두운 발트해에 뛰어들었다. 바다에 떠올라 있던 아이들은 어른에게 매달려, 여성은 갓난아기를 지키려 하고 있는 것을 보았지만, 차례차례로 밀려 드는 물결이 그들을 뿔뿔이 흩어지게 삼켰고 많은 사람은 그대로 모습이 안 보이게 되었다고 한다.
침몰 사고로 9,343명(대부분이 민간인으로 반 이상이 어린이)이 죽어, 희생자수에서는 사상 최악의 해난사고로서 기록되고 있다. 덧붙여 2월 10일에는 여객선슈트이벤호가, 4월 16일에 는 여객선고야호가 각각 소련 잠수함의 뇌격을 받아 침몰해, 난민 등에게 많은 희생자 (슈트이벤호에서는 4,500명·고야호에서는 6,666명)를 내고 있다. 1945년 4월 초까지, 독일 해군은 동쪽 Pruisen로부터 독일 서부로 250만명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것에 성공했지만, 그 과정에서 33,000명의 난민이나 군인이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