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우스 2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실리우스 2세 Βασίλειος Β΄ Βουλγαροκτόνος |
|
---|---|
재 위 | |
976년 - 1025년 | |
성 명 | {{{성명}}} |
별 명 | {{{별명}}} |
왕 비 | {{{왕비}}} |
황 후 |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왕 가 | {{{왕가}}} |
황 가 | {{{황가}}} |
부 왕 | {{{부왕}}} |
부 황 | {{{부황}}} |
부 친 | {{{부친}}} |
모 비 | {{{모비}}} |
모 후 | {{{모후}}} |
모 친 | {{{모친}}} |
앞선 왕 | {{{이전 왕}}} |
앞선 황제 | 요한네스 1세 |
앞선 천황 | {{{이전 천황}}} |
다음 왕 | {{{다음 왕}}} |
다음 황제 | 콘스탄티누스 8세 |
다음 천황 | {{{다음 천황}}}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
바실리우스 2세 불가록토누스(그리스어: Βασίλειος Β΄ Βουλγαροκτόνος, 958년경 –1025년 12월 15일)는 비잔티움의 황제(재위기간:976년~ 1025년)였다. 불가톡누스란 "불가르족의 학살자"란 뜻으로 그의 불가리아 정복에 따른 별명이다. 그는 치세동안 내내 영토를 꾸준히 확장하여 500여년만에 비잔티움 제국은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목차 |
[편집] 생 애
[편집] 초기의 생애
바실리우스는 로마누스 2세 황제와 테오파노의 아들이다. 그가 다섯살때 아버지가 죽었고 섭정이 구성되었는데 테오파노는 로마누스의 장군중 한사람인 네키포룻 포카스와 결혼하여 그가 황제가 되었다. 969년 니케포루스가 살해당하자 제위는 요한네스 1세에게 돌아갔고 7년후 요한네스도 죽자 바실리우스는 18살의 나이로 동생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비잔티움의 황제가 된다.
그러나 황제가 되었지만 치세 초반 9년동안은 이름만 황제였을 뿐 실권은 막강한 시종장 바실리우스 레페카누스의 영향아래에 있었다. 시종장 바실리우스는 언제나 젊은 황제를 조종하려했으며 황제는 그냥 말없이 그가 하자는 대로 따라 주면서 묵묵히 행정과 군사를 배웠다.
[편집] 반란과 권력의 안정
그의 치세 초기 두명의 비잔티움 장군이 반란을 일으켰다. 한명은 바르다스 스클레루스, 다른 한명은 니케포루스 황제의 조카인 바르다스 포카스이다. 이들 장군들은 전임황제와 친인척간이었고 권력과 영향력이 있는 귀족가문에 속했기 때문에 젊은 황제에데 도전했던 것이다. 먼저 반란을 일으킨 것은 바르다스 스클레루스인데 바실리우스는 바르다스를 포섭하여 반란을 수습했고 두사람의 휴전으로 약 6년간의 시간을 벌 수 있었다. 바실리우스 2세는 이 시기를 위용해 자신의 힘을 기르고 군사력을 키워 마침내 985년 시종장 바실리우스를 추방하고 자신의 지배권을 확립했다.
두명의 바르다스는 제위를 노리고 반란을 일으켰고 바실리우스는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1세의 도움으로 오랜 전쟁 끝에 결국989년 두명의 장군을 물리치고 반란을 수습할 수 있었다. 블라디미르는 자신이 반란진압을 도운 댓가로 바실리우스 2세의 누이 안나를 요구했고 바실리우스는 키예프 공국이 정교회 신앙을 받아들인다는 조건으로 결혼을 허락했다.
[편집] 눈부신 군사적 성공
반란이 정리되고 자신의 권력이 확실해지자 바실리우스는 군사력을 바탕으로 제국의 영토를 다시 회복하기 시작했다. 989년 부터 제국의 서쪽으로 원정을 떠나서 차례 차례 불가르족을 압박하고 상당한 영토를 회복했다. 이미 불가르족은 사무엘이 차르를 자처하고 바실리우스가 내부적인 반란에 정신없을 980년 제국을 쳐들어와 뼈아픈 패배를 안겨주었다. 바실리우스는 차근차근 그때의 굴욕을 갚아나가고 있었지만 사무엘의 불가르족에 대한 완벽한승리를 못하고 있었다.
995년 바실리우스는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불가리아에서 돌아와 시리아로 쳐들어갔다. 바실리우스는 적의 수중에 떨어질 위기에 처한 안티오크를 구원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모든 병력을 기병화하여 불과 16일만에 소아시아를 가로질르는 강행군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기동력과 전격전에 힘입어 그는 레반트 지역에서 제국의 우위를 다시한번 강화하고 돌아왔다.
돌아오는 길에 바실리우스는 아나톨리아 귀족의 지위를 약화하는 칙령을 내리고 황제권을 강화했다.
[편집] 불가르족의 학살자
바실리우스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불가리아 였다. 바실리우스는 그의 치세 초기에 사무엘에게 당한 굴욕을 수복하기 위해 항상 불가르족을 압박했으며 그의 치세의 대부분은 동방전선에서 전쟁을 할 때를 제외하고 불가리아와 전쟁중이었다. 바실리우스 2세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들의 도움으로 불가르족을 압박해 해가 갈수록 점점 사무엘의 영토를 차지해나갔다. 1000년부터 4년동안 테살로니카에서 도나우 강에 이르는 발칸 반도 동부 전역을 수복했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불가르족을 밀어붙여 1014년 드디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그해 7월 29일 클리디온 전투에서 바실리우스는 불가르군에게 엄청난 승리를 거두었다. 이때 사로잡은 포로는 거의 1만5천명이었는데 이들에게 잔인한 형벌을 내렸다. 즉, 100명당 1명씩 한눈을 멀게하고 나머지는 모두 장님을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 상태로 사무엘에게 돌아가게 했는데 차르 사무엘은 이 포로들이 돌아오자 너무나도 끔찍한 광경에 그만 충격에 쓰러져 결국 죽고 말았다.
사무엘이 죽음에도 계속 저항하던 불가르족은 마침내 1018년 디라키온 공방전에서 패하자 항복하고 말았다. 불가리아는 해체되어 비잔티움 제국으로 통합되었고 바실리우스는 "불가르족의 학살자"(Βουλγαροκτόνος)라는 별명을 얻었다.
불가리아 문제가 정리되자 바실리우스는 동부로 눈을 돌려 흑해연안의 그는 그루지아와 아르메니아에서도 군사력과 외교로 제국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편집] 말년과 죽음
바실리우스는 오토 3세(오토 3세는 오토 2세와 비잔티움 출신의 어머니 테오파노의 아들임)와 자신의 조카딸 조에와 결혼시키려고 시도했으나 불발로 끝났다.
치세의 말기 바실리우스는 이탈리아 남부에 대한 제국의 지배권을 강화하고 시칠리아의 해방을 위해 애썼다. 1017년 노르만족 정복가들이 대거 몰려오면서 남부 이탈리아는 비잔티움에 반기를 들고 일어났다. 019년 10월 롬바르드족과 노르만족 연합군의 공세를 막아냈고 1022년에는 서방황제 하인리히의 침입을 막아내었다.
비실리우스는 남 이탈리아를 정리하고 시칠리아 원정을 준비하던 1025년 12월 15일 예순일곱의 나이로 죽었다. 바실리우스는 결혼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후사가 없었고 제위는 그의 동생 콘스탄티누스에게로 넘어갔다.
[편집] 평가
비실리우스 2세는 비록 어린 시절, 섭정을 받고 다른 권력자들과의 투쟁속에서 뒤늦게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지만 일종의 대기만성형의 황제였다. 전장에서는 용감한 장군이었고 개혁적인 군주로 당시 비잔티움을 좌지우지하던 아나톨리아의 뿌리깊은 귀족들을 견제하고 사회 구조를 전체적으로 개혁하는데 앞장 섰다. 그는 황제의 권위를 높였고 소농민에 대한 제국의 보호를 강화하여 직접 황제에게 군역과 세금을 바쳤다. 토지소유권에 대해 엄밀한 감사를 실시하고 대규모 영지는 몰수했으며 수많은 전쟁을 치뤘으면서도 이러한 개혁 조치들로 제국의 재정은 비교적 넉넉한 상태였다.
그의 치세에 비잔티움 제국은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이후로 최대 판도를 자랑했다. 서방 제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고 자신의 안락(그는 평생 독신이었다.) 보다는 제국의 번영을 위해 힘쓴 마지막 위대한 황제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의 뒤를 이을 훌륭한 후계자가 없었기에 그가 죽은 직후 부터 제국은 급속도로 쇠퇴하기 시작한다.
전 임 요한네스 1세 (969 - 976)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976년 - 1025년 |
후 임 콘스탄티누스 8세 (1025 - 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