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쾌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쾌대(李快大, 1913년 1월 15일 ~ 1965년)는 한국의 화가이다.
[편집] 생애
경상북도 칠곡의 대지주 집안 출생으로, 미술 및 복식사, 민속사에 깊은 식견을 가지고 있던 맏형 이여성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다. 1928년 대구 수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휘문고등보통학학교에 입학하여 미술교사로 재직 중이던 화가 장발에게 미술을 배운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면서 화단에 데뷔하였고, 그 해 가을에 제3회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람회 회화부 2등상을 수상했다. 1934년 일본으로 유학, 도쿄 제국미술학교에 입학하여 1938년 졸업했다. 1941년 도쿄에서 조선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였는데 이 때 협회 구성원들은 이중섭, 최재덕, 문학수, 김종찬, 김학준, 진환이었다.[1]
광복 후 1946년 조선조형예술동맹 회화부 위원에 선임되었다. 같은 해 조선미술동맹의 서양화부 위원장에 선임되었으며, 연말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였다. 1947년 8월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했고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8년 서울지검에서 운영하던 좌익 인사 사상전향기구 보도연맹에 가담하여 전향하였다.[2] 이후 홍익대학교 강사로 일하던 중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서울이 조선인민군에게 점령되었을 때 조선미술동맹에서 활약했다. 이후 9·28 수복 직전 서울을 탈출했으나 대한민국 국군에 체포되어 부산과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구금되었다.
1953년 남북 포로 교환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택했다. 월북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미술계에서 꾸준한 활동을 하다가 1965년 위장 계통의 질병으로 사망했다는 것 외에는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1950년대 후반경 숙청되어 말년이 불행했다는 설이 있다.[3] 알려진 마지막 작품은 1958년 김진항과 공동 제작한 중국군의 한국 전쟁 참전을 기념하는 우의탑의 대형 벽화이며, 북조선에서 발행하는 미술가사전에도 누락되어 있다.[4] 대한민국에 남은 유족으로는 부인 유갑봉(1980년 사망)과 3남 1녀를 두었다.[1]
서사적이고 장엄한 화풍으로 '한국의 미켈란젤로'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대표작으로 〈군상〉시리즈와 , 〈걸인〉, 〈조난〉, 〈운명〉 등이 있다.
[편집] 참고자료
- 조영복 (2002년 9월 10일). 〈이쾌대 - 장엄한 역사의 서막을 알려준 화가의 손〉, 《월북 예술가, 오래 잊혀진 그들》.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1503.
- 조영복, 월북지식인들의 행로 (2) 이쾌대 《조선일보》 (2001.1.7)
[편집] 주석
- ↑ 1.0 1.1 지명문, 김복기 (1991년 10월 8일). 《신세계창립29주년기념 월북화가 이쾌대전》. 서울: 신세계미술관.
- ↑ 편집부 (1999년 12월 22일). 《한국현대 예술사대계 1 (해방과 분단 고착 시기)》. 서울: 시공사, 255쪽. ISBN 895270522X.
- ↑ 《연합뉴스》 (2000.7.18) 월북 이쾌대 화백, 1965년에 사망 (《한겨레신문》 재인용)
- ↑ 이구열 (1998년 8월). 분단 50년, 월북 미술인 68인의 행적. 《월간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