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중가요란, 주로 사회운동에서 불리는 노래를 총칭하는 표현이다. 투쟁가, 민가 등으로도 불린다. 노동운동, 통일운동, 인권운동, 정치운동 등 주제별로 다양하다.
대한민국의 민중가요는 주로 6월 항쟁의 기간에 많이 생겨났다. 이후 민중가요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거나, 해당 운동의 주제를 주로 담았다. 노동운동이 활발했던 기간에는 철의 노동자와 같은 노동자의 권리에 관한 민중가요가 많이 불려졌으며, 미군 장갑차 여중생 압사 사건 때에는 미국을 비판하는 노래가 많이 나왔다. 2008년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한미 쇠고기 협상 내용에 대한 반대 시위에서도 새로운 민중가요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시위, 집회가 있을 때 공통적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많이 제창한다.
목차 |
[편집] 대표적인 아티스트
- 안치환
- 노래를 찾는 사람들
- 우리나라
- 천지인
- 꽃다지
[편집] 대표적인 민중가요
[편집] 문학에 나타난 민중가요
소설가 공지영의 등단작인 '동트는 새벽'의 마지막 장면에는 1980년대 대표적인 민중가인 '동지가'가 나온다.
[편집] 함께 읽기
- 사회운동
- 운동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