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이 문서를 정리해 주세요.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생물 분류
과: Retroviridae
속: Lentivirus
종: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2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이하 HIV)는 인간의 면역체계를 파괴하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일종으로, AIDS(에이즈)의 병원체이다. 이전에는 인간 T-세포 림프종 바이러스-III(human T-lymphotropic virus-III, HTLV-III), 림프절종창 연관 바이러스(lymphadenopathy-associated virus, LAV), AIDS 연관 레트로바이러스(AIDS-associated retrovirus, ARV)라고도 불렸으나, 현재에는 이 명칭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HIV는 수혈, 정액, 질 분비물, 모유 등의 체액으로 전염된다. HIV의 가장 주요한 감염경로는 성병 예방수단 없이 이루어지는 성교, 오염된 주삿바늘, 수직감염(모유로 인한 감염, 임신 중 모체로 인한 태아의 감염)가 있다.

인간의 HIV 감염은 세계적이다. 2006년 1월에는 유엔에이즈계획(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UNAIDS)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1981년 12월 1일 에이즈의 첫 발견 이래 25백만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추산했다. 현재 아프리카에는 90백만명이 HIV에 감염되었고 이로 인해 최소 18백만명의 고아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HIV는 주로 헬퍼 T 세포(CD4+ T 세포), 대식세포(macrophage),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등의 면역세포들을 감염시킨다. HIV에 감염되면 CD4+ T 세포의 개체 수가 현격히 감소하는데, 이렇게 감소하는 기작은 3가지로서, 첫번째로 바이러스의 감염 후 생활사의 진행으로 인한 세포의 파괴, 두번째로 감염된 T세포들의 아포토시스 확률 증가, 마지막으로 CD8 세포독성 림프구로 하여금 감염된 CD4+ T 세포를 파괴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CD4+ T 세포의 수가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체액성 면역이 완전히 상실되며 감염자는 기회감염에 노출된다.

HIV 감염자는 결과적으로 10명 중 9명은 10-15년 후 에이즈의 증상기로 진행된다. 증상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회복시켜, 에이즈 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약제로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있으며,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3가지 이상 병합하여 사용하는 HAART 요법이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지 않으면 ARC로 인해 1년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편집] 외부고리

[편집]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