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A Mari Usque Ad Mare (라틴어: 바다에서 바다로) |
|||||
국가: 오, 캐나다!1 | |||||
![]() |
|||||
수도 | 오타와 |
||||
공용어 | 영어, 프랑스어 | ||||
정부 형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엘리자베스 2세 미카엘 장 스티븐 하퍼(보수당) |
||||
독립 • 독립 • 웨스트미니스터 • 캐나다 법 |
영국으로부터 독립 1867년 7월 1일 1931년 12월 11일 1982년 4월 17일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9,984,670 km² (2위) 8.92% |
||||
인구 • 2006년 어림 • 2001년 조사 • 인구 밀도 |
32,623,490명 (36위) 30,007,094명 3.2명/km² (219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1조 105억 (11위) $34,273 (7위) |
||||
HDI • 2004년 조사 |
0.950 (6위) |
||||
통화 | 달러 (ISO 4217:$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UTC (UTC-3.5~-8) (UTC-2.5~-7) |
||||
ISO 3166-1 | 124 | ||||
---|---|---|---|---|---|
ISO 3166-1 alpha-2 | CA | ||||
ISO 3166-1 alpha-3 | CAN | ||||
인터넷 도메인 | .ca | ||||
국제 전화 | +1 |
||||
1캐나다는 영국의 국왕을 국가 원수로 채택한 나라이므로 왕실 국가는 God Save the King이 된다. |
캐나다(영어: Canada, 프랑스어: Canada 카나다, 이누이트어: ᑲᓇᑕ 카나타, 문화어: 카나다, 통용: 가나다(加那陀))는 북아메리카 최북단의 연방 국가이다.
전 세계 국가 중 러시아에 이어 국토 면적이 두 번째로 크다. 10개의 주와 3개의 준주로 구성돼 있으며, 1867년 연방 결성 이후 영국 왕을 상징적인 국가 원수로 하고 있다.
목차 |
[편집] 명칭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이름입니다.
캐나다라는 이름은 휴런 족의 언어로 '작은 마을'이라는 뜻의 카나타(Kanata)에서 유래하였다.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역사입니다.
16세기에 프랑스에서 자크 카르티에가, 영국에서 존 캐벗이 캐나다 동부 해안을 탐험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인들의 이민 및 교역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캐나다에서의 백인들은 미국과 달리 인디언을 무력으로 짓밟지는 않았으며, 평화적으로 공존하였다.
중서부에서는 초기 프랑스인들의 모피무역이 성행했는데 지역 원주민들과 프랑스계 모피 산업 관련자들이 서로 많은 도움을 주고 받았다. 그들 사이의 혼혈 커뮤니티가 생겨났고 이들을 메이티라고 부른다. 메이티는 후에 루이 리엘의 반란 등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했고 오늘날도 서부 및 평원주 지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의 라이벌 관계는 전쟁으로 발전하여 1763년 프랑스의 패배로 끝나고 캐나다 전체가 영국으로 통일되었다. 이로 인해 옛 프랑스 식민 지역이던 퀘벡은 영연방으로 편입이 되지만, 영국 식민 정부는 퀘벡의 문화 정체성을 보장하는 정책을 수립한다. 이후 정치적 독립은 불허하지만 퀘벡 주민들이 신앙으로 삼는 가톨릭과 역시 그들의 언어인 프랑스어 사용 등이 같은 지역 내에서 보장된다. 이를 명시한 것이 캐나다 지역 최초의 헌법으로 여겨지는 대영 북아메리카 조약(BNA Acts, British North America Acts)이다.
미국 독립 혁명 이후에는 영국 왕 지지자, 성공회 성직자, 신도들이 캐나다로 이주해왔다. 1812년의 전쟁에서 캐나다군은 영국군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남북 전쟁 중에는 미국 남부에서 도망쳐오는 노예들을 받아들이는 호의를 베풀었다.[1]
[편집] 지리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지리입니다.
남쪽과 서쪽으로 미국과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있다. 동쪽의 대서양부터 서쪽의 태평양까지 뻗쳐 있으며, 북쪽으로는 북극해에 접한다. 공식적으로 캐나다의 영토는 북극까지 뻗어 있다.
[편집] 행정 구역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인 오타와에는 의회와 총독부가 있다. 총독부는 공식적으로 국가 원수인 엘리자베스 2세를 대리한다.
캐나다의 주는 모두 10개로 다음과 같다:
- 노바스코샤 주 (주도 핼리팩스)
- 뉴브런즈윅 주 (수도 프레더릭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주도 세인트존스)
- 매니토바 주 (주도 위니펙)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주도 빅토리아)
- 서스캐처원 주 (주도 리자이나)
- 앨버타 주 (주도 에드먼턴)
- 온타리오 주 (주도 토론토)
- 퀘벡 주 (주도 퀘벡 시)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 (주도 샬럿타운)
준주는 노스웨스트 준주(주도 옐로나이프), 누나부트 준주(주도 이칼루이트), 유콘 준주(주도 화이트호스)가 있다.
[편집] 기후
서쪽(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등)은 온난하여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으나, 겨울에는 비가 많이 온다. 동쪽(온타리오 주, 퀘벡 주, 매니토바 주 등)은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추운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지만 봄과 가을이 약간 짧은 편이다. 여름에는 장마가 없으나 서부 밴쿠버 지역은 겨울에 강수량이 높아 '겨울 장마'라 불릴 정도다. 여름철은 캐나다 여러 지역이 매우 기온이 높은 편이나 기온이 섭씨 30도를 넘는 날에도 습도가 낮기 때문에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참고로 리자이나는 체감 온도가 50도 가까이 된 적도 있다. 북부의 옐로나이프와 화이트호스는 겨울이 매우 춥고 여름이 쾌적하다.
[편집] 정치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정치입니다.
연방 단위 행정은 연방 정부(프랑스어: Gouvernement fédéral, 영어: Federal Government), 입법은 연방 의회(프랑스어: Parlement du Canada, 영어: Parliament of Canada), 사법은 연방 법원(프랑스어: Cour fédérale, 영어: Federal Court)에서 처리하는 3권 분립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의원내각제(영어: Parliamentary Cabinet System)를 통치 제도로 한다.
캐나다 연방 정부는 캐나다의 최고 행정 기관으로 연방하원(프랑스어: Chambre des Communes, 영어: House of Common),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내각을 구성하며, 내각의 수장은 총리(프랑스어: Premier ministre, 영어: Prime Minister)로 연방 하원 내 다수당 대표가 연임하게 된다. 차관급 미만 연방 공무원은 비정치적, 비선출직 공무 분야 전문인으로 구성되어 비정치색을 띈다.
지방자치제가 발달해 각 주에는 주 정부(프랑스어: Gouvernement provincial, 영어: Provincial Government)가 총리(프랑스어: Premier ministre, 영어: Prime Minister)의 영도 아래에 연방정부 고유 권한인 외교권과 군통수권을 제외한 거의 모든 행정 영역을 관할한다. 주 단위에서도 삼권 분립이 이뤄져 사법부인 주 법원(프랑스어: Cour provinciale, 영어: Provincial Court)과 입법부인 주 의회(프랑스어: Assemblée législative, 영어: Legislative Assembly)가 활동하고 있다.
[편집] 주민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주민 구성입니다.
-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의 소수 민족입니다.
캐나다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만 명 이상인 민족만 해도 34개 민족이 있다. 캐나다인의 다수(2001년 현재 86.9%)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이민한 유럽(잉글랜드 19.2%, 프랑스 15.7%, 스코틀랜드 14%, 아일랜드 12.9%, 독일 9.0%, 이탈리아 4.3%) 출신의 백인의 자손이다. 아시아계 캐나다인은 전체 인구의 9%이며, 온타리오 주 남부와 밴쿠버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1982년의 헌법은 캐나다의 원주민 세 집단을 인정한다. 이들은 인디언, 이누이트, 메이티이다. 법에서는 '인디언(Indians)'이라는 명칭을 썼지만, 오늘날에는 보통 선주민을 의미하는 '퍼스트네이션(First Nations)'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들 원주민은 2001년 인구 조사에서 전체 인구의 3.3%인 976,305명이 집계되었는데, 그 가운데 62%가 퍼스트네이션, 30%가 메이티, 5%가 이누이트이다.
[편집] 인구
캐나다 인구는 2005년 10월 현재 캐나다 연방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32,378,122명으로 인구밀도는 3.1 제곱킬로미터당 1명이다.
[편집] 종교
가장 최근의 인구 조사[1]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77.1%가 기독교 신자라고 밝혔으며, 교파로는 가톨릭교가 가장 많다(캐나다인의 43.6%). 캐나다인의 17%는 어느 종교에도 소속돼 있지 않다고 밝혔고, 나머지 6.3%는 시크교,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의 종교에 속했다. 그외 캐나다 성공회, 캐나다 연합교회(장로교, 감리교 등이 연합한 교단) 등도 존재한다.
[편집] 언어

캐나다의 공용어는 인구의 영어와 프랑스어이다. 2007년 12월 4일 발간한 2006년 국세조사에 따른면 모어는 영어 57.8%, 프랑스어 22.1%, 가정어로 영어는 67.55%, 프랑스어는 21.70%, 인지도를 보면 영어 85.08%, 프랑스어 30.70%로 나타났다. 캐나다는 1969년 7월 7일 공용어법(Official Languages Act)을 통해 프랑스어의 지위가 연방 정부를 통틀어 영어의 지위와 맞먹게 되었다. 그리하여 캐나다가 이중 언어 다문화주의 국가로 스스로 재정의하게 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가 모어가 아닌 이민자들이 압도적으로 영어를 선택하는 현 체제는 퀘벡인들에게 엄청난 상실감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한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거의 전적으로 영어를 선택함으로써 소외된 퀘벡인들을 더욱더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어와 프랑스어는 연방 법원과 의회, 모든 연방 기구에서 동일한 지위를 갖는다. 캐나다인의 98%가 영어나 프랑스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구사한다.
프랑스어는 퀘벡 주 전체를 비롯하여 뉴브런즈윅 주, 온타리오 주의 동부와 북부, 서스캐처원 주, 노바스코샤 주 남쪽 해안, 매니토바 주 남부 등 여러 군데에 흩어진 지역에서 쓰인다. 프랑스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캐나다인 가운데 85%가 퀘벡 주에 거주한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여러 원주민 언어들이 공식 지위를 가진다. 누나부트 준주에서는 이누이트어가 다수 언어로 공식 지위를 가진다.
또 2006년 국세조사에 따르면 영어와 프랑스어가 아닌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allophone)이 6,147,840(20.1%)나 차지했다. 그 중에서 여러 개의 중국어(1,034,090), 이탈리아어(476,905명), 독일어(466,650명), 펀자브어(382,585명), 스페인어(362,120명), 아랍어286,785명), 타갈로그어(260,440명)등이 포함된다.
캐나다는 영연방의 주요 구성원이자,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이다.
[편집] 군사
제1차 세계 대전 때부터 이 나라 출신은 많은 공군을 배출하였다.
현재 캐나다군의 병력은 6만 4000여 명에 이른다. 연합 캐나다군(The Unified Canadian Forces)은 육군, 해군, 공군을 아우른다. 장비로는 1,400여 대의 군용기와, 34척의 군용선박 그리고 16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캐나다는 1949년 북대서양 조약기구에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국제연합의 군사작전의 일환으로 여러 차례 해외로 자국군을 파병한 바 있고, 그중 가장 규모가 컸던 때는 한국전쟁이었다.
[편집] 경제
캐나다는 지리 위치상(접하고 있으므로) 미국의 경제에 상당히 의존하는 편으로 미국과 많은 교역을 하고 있다. 나라 면적이 2위인 캐나다는 각 주마다 특성을 이용한 산업이 활발한 편으로, 각 주마다 주요 산업이 다르다. 특히 2007년 시점에서는 앨버타 주의 오일 샌드에서 원유가 채굴되고 있기 때문에 거대한 매장량을 지닌 산유국이기도 하다.
캐나다는 광물 자원을 타고나서 세계 10위에 들어가는 광물이 17종류가 있다. 이하 수치는 2003년 시점의 통계 데이터에 근거한 것이다. 유기 광물 자원은 천연가스(6565천조 줄, 3위), 연료가 되는 갈탄(3695만 톤, 9위)외에 석탄(2954만 톤)과 원유(9111만 톤)의 산출량을 가지고 있다. 다이아몬드의 산출량도 1120만 캐럿에 이르러 세계 제6위이다.
금속 자원의 경우 우라늄(1만 톤, 1위, 세계 쉐어 29.2%), 염화 칼륨(820만 톤, 1위, 세계 쉐어 30.9%), 유황(903만 톤, 2위), 철광석(1980만 톤, 3위), 은(1309톤, 3위), 텅스텐(2750톤, 3위), 니켈(16만 톤, 3위), 아연(100만 톤, 4위), 코발트(4304톤, 5위), 염화 나트륨(1335만 톤, 5위), 납(15만 톤, 5위), 금(141톤! --만톤은 아니다―-, 7위), 안티몬(143톤, 8위), 구리(56만 톤, 8위)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마그네슘, 인 등도 채굴되고 있다.
[편집] 천연자원
천연가스, 석유, 석탄, 금, 은, 구리, 다이아몬드, 철광석, 니켈, 우라늄, 아연, 목재, 물, 물고기 종류(연어, 연어알, 참치 등).
[편집] 산업
항공 산업, 우주 산업, 자동차 부품 제조, 제지, 철강, 기계 ·기기, 에너지 산업, 광업, 화석연료 채굴, 임산, 농업, 어업, 관광업, 영화 산업, 멀티미디어 산업, 하이테크 산업, 컴퓨터 산업, 소프트웨어 제작, 게임 제작, CG, 애니메이션.
[편집] 수출품
주된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기계·기기, 정밀 기기, 석유, 천연가스, 금속, 임산품, 농산품, 어류(연어, 연어알, 참치 등), 메이플 시럽 등.
[편집] 문화
과거에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현재 국제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와 영 연방 모두 정회원 소속이다. 여러 민족이 이민을 와 함께 모여 사는 다민족 국가이다. 하지만 퀘벡 주가 분리 독립을 시도한 역사가 있어서 캐나다 연방 존속에 대한 갈등의 씨앗으로 남아 있다.
[편집] 외교
[편집] 대한 관계
캐나다는 1949년 4월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하였다. 한국 전쟁 때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편집] 바깥 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프랑스어) 캐나다 정부 공식 홈페이지
- (영어/프랑스어) 캐나다 외무부
- (한국어/영어)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
- (한국어/영어) "세계 사실 책" --캐나다
- (영어)캐나다 매력의 사진
- (영어/프랑스어) 캐나다 문화
- (한국어/영어) 캐나다 한인 온라인 커뮤니티
[편집] 각주
- ↑ 그래서 헤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서 흑인노예 톰의 아내 엘리자가 퀘이커교도의 도움으로 아들 조지를 데리고 도망치는 곳이 캐나다였다.
|
||
---|---|---|
독립국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미국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벨리즈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¹ | ![]() |
비독립국 | 그린란드 · 과들루프²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마르티니크² · 몬트세랫 · 버뮤다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생마르탱 · 생바르텔레미 · 생피에르 미클롱 · 아루바 · 앵귈라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푸에르토리코 | |
¹.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나라 목록 245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
|
---|
![]() ![]() ![]() ![]() ![]() ![]() ![]() ![]() |
![]() |
|
---|---|
가나 · 가이아나 · 감비아 · 그레나다 · 나미비아 · 나우루(특별 회원국)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 뉴질랜드 · 도미니카 · 레소토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말라위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몰타 · 바누아투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방글라데시 · 벨리즈 · 보츠와나 · 브루나이 · 사모아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솔로몬 제도 · 스리랑카 · 스와질란드 · 시에라리온 · 세이셸 · 싱가포르 · 앤티가 바부다 · 영국 · 오스트레일리아 · 우간다 · 인도 · 자메이카 · 잠비아 · 카메룬 · 캐나다 · 케냐 · 키리바시 · 키프로스 · 탄자니아 · 통가 · 투발루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키스탄 · 파푸아 뉴기니 · 피지 | ![]() |
![]() |
|||||||
---|---|---|---|---|---|---|---|
|
![]() |
|
|
---|---|
원가맹국 (1949년 가입) |
![]() ![]() ![]() ![]() ![]() ![]() ![]() ![]() ![]() ![]() ![]() ![]() |
1950년 이후 가입 | ![]() ![]() ![]() ![]() |
냉전 후 가입4,5 | ![]() ![]() ![]() ![]() ![]() ![]() ![]() ![]() ![]() ![]() |
1.군대가 없는 조건으로 가입 2. 1966년 탈퇴, 1992년 재가입 3.1955년 서독으로 가입,1990년에 동독으로 확대 4.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이던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은 1999년 3월 12일 가입했다. 5.옛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이던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와 구 소비에트 연방 구성국이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는 2004년 3월 29일 NATO에 가입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