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행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 특히 선형대수학에서, 어떤 행렬의 전치행렬(轉置行列)은 원래 행렬의 열은 행으로, 행은 열으로 바꾼 것이다. 정사각행렬의 경우에는 행렬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를 가르는 주대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소끼리 바꿔치기하여 전치행렬을 얻을 수 있다. A행렬의 전치행렬은 Atr, tA, A′, AT 등으로 나타낸다..
행렬 A의 전치행렬은 행렬이 된다. 1 ≤ i ≤ n and 1 ≤ j ≤ m일때 AT는 AT[i, j] = A[j, i]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치행렬의 예는 다음과 같다.
[편집] 성질
행렬 A와 B가 있을 때 모든 스칼라 값 c에 대하여 (A + B)T = AT + BT 이고 (cA)T = c(AT)이다. 즉, 치환행렬 연산은 행렬을 정의역과 치역으로 가지는 선형사상임을 알 수 있다.
치환행렬 연산을 두번 반복하면 원래 행렬이 나온다. (AT)T = A.
A가 행렬이고 B가 행렬이면, (AB)T = (BT)(AT)이다. 곱셈의 순서가 바뀌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 사실로부터 어떤 행렬 A가 역행렬을 가지려면, AT도 역행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1)T = (AT)-1.
두 벡터 와 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